오늘부터 이틀간의 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6'4 지방선거의 막이 올랐다. 예년 같으면 선거 분위기가 후끈 달아올랐을 시점인데 이번에는 차분하다 못해 너무나 조용하다. 세월호 참사 여파 때문이다. 후보자들은 공천을 받거나 공식 선거운동에 앞서 유권자의 호감을 사기 위해 치열한 각축을 벌였지만 세월호 참사에 쏠린 국민의 관심을 선거판으로 돌리지 못했다. 22일 시작되는 공식 선거운동도 이런 분위기의 압력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세월호 참사가 모든 이슈를 삼켜버리면서 역대 최악의 '깜깜이' 선거가 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과열된 선거도 문제지만 이처럼 너무나 조용한 선거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에 국민이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유권자의 이러한 무관심은 자질이 부족한 후보, 부도덕한 후보, 지역의 발전이 아니라 개인적 영달에만 관심이 있는 후보가 당선되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 그 직접적인 피해자는 바로 국민이다.
그런 점에서 유권자들은 세월호 참사만큼이나 지방선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관심을 거두라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말도 안 되는 사고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지방선거가 바로 나의 일이라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세월호 참사만이 유권자의 판단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지방선거를 통해 해결하고 개선해야 할 것은 '안전' 말고도 숱하다. 세월호 참사를 통해 재난 방지와 안전이 얼마나 중요한지 드러났지만 지역의 발전 역시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유권자들은 야당이 제기하는 '정권심판론'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정권심판론은 지방문제를 '정치화'하는 것이다, 이는 중앙정치의 시각에서 지방선거를 바라보는 것으로 지방선거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난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책임은 마땅히 물어야 하지만 이는 다양다기(多樣多岐)할 수밖에 없는 지역적 이슈를 덮어버림으로써 정작 지역에 필요한 지역일꾼을 가려내는 데는 '깜깜이'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