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현실과 동떨어진 안전교육 확 뜯어 고쳐라

우리나라가'사고 공화국'소리를 듣는 것은 부끄럽지만 현실이다. 여기에는 어른들의 안전 불감증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지만 그 뿌리에는 제대로 된 안전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란 어린 시절이 있다. 아이들은 실전 상황에서 써먹지도 못할 교육을 받으며 자란다. 어린 시절부터 안전교육을 정규교육과정에 포함시키고 실제 사고 상황에서 대처 능력을 키워주는 선진국과는 사뭇 다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교원 및 전문직 3천여 명을 대상으로'스승의 날 설문 조사'를 했더니 대다수가 안전교육이 부실하고 형식적이라는 답변을 내놨다. 최근 1, 2년 내 학생안전 교육이나 재난대비 연수'교육을 받지 않은 교원이 40%에 달했다. 교육 받은 경우도 66%가 강의중심의 이론 교육만 받았을 뿐이라고 했다. 그러니 만족했을 리 없다. 13%만이 교육내용이 '충분하다'고 답했고, 59%는 '부족하다'고 했다. 학생들에게 안전을 가르쳐야 할 교원들조차 교육이 부실하다고 느낄 정도라면 세월호 같은 참사는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도 안전교육에 대한 규정은 많다. 아동복지법은 초'중'고교에서 연간 44시간씩 안전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최근 국회를 통과한 '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법'은 외부 체험 활동에 앞서 학교장이 직접 안전대책을 점검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다.

세월호 참사에서 국민을 가장 가슴 아프게 한 것은 구명조끼를 입은 채 선실에서 기다리던 아이들의 모습이었다. 선체가 기울면 배가 침몰한다는 사실만 알았더라도, 구명조끼를 입었다면 서둘러 시야가 확보되는 바깥으로 나와야 한다는 사실만 교육받았더라도 살릴 수 있었던 생명이다.

안전교육은 각종 재난 발생 시 대처 능력을 길러주는 쪽으로 확 뜯어고쳐야 한다. 교육부는 세월호 참사 후 '현장 안전교육 의무교육 강화 방안' 등을 마련해 국회에 보고했다. 서둘러 서류 몇 장 만들었다고 달라질 것은 없다. 철저히 현장중심의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어릴 때부터 반복 훈련형 체험 안전 교육을 주기적'의무적으로 실시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