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안동 국도확장' 현장조사 없이 공사 중단

사진만 보고 졸속 대책…공사후 안전 대책 미흡 비판

부실공사 우려를 낳은 '포항 기계~안동 국도 4차로 확장공사'(본지 14일 자 7면 보도, 15일 자 10면 보도)가 전면 중단됐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15일 부실공사 우려와 주민 피해 등 문제를 인정하고 개선책을 마련할 때까지 공사를 잠정적으로 중단시켰다.

부산국토청 관계자는 15일 현장을 방문해 주 시공사인 ㈜대림종합건설과 주 감리단인 ㈜천마기술단 등을 통해 현장 상황을 보고받고, 곧바로 모든 공사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부산국토청은 흙다짐의 기준이 되는 규준틀이 설치되지 않은 점을 파악, 곧바로 시공사에 설치를 요구했다. 규준틀은 흙다짐을 할 때 흙의 양과 두께 등의 참고가 되는 것으로 시방서 기준을 표시해 주는 것이다.

시공사 측은 "공사를 진행하면서 용지보상이 원활치 못해 우선 땅 주인들의 기공 승낙을 받아 시공을 하고 있다"며 "여유 용지가 부족해서 규준틀을 설치하지 못했지만 품질 관리를 위해 임시로 설치한 뒤 용지 보상이 더 진행되면 재설치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국토청은 또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살수작업의 횟수를 늘리고, 인근 공사장에 설치된 세륜기를 함께 사용해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시공사에 요구했다.

그러나 부산국토청이 마련한 대책은 또 다른 논란거리를 만들었다. 공사 현장의 문제점을 자체 인력을 동원해 엄격히 파악한 것이 아니라 시공사 자료에 의존해 '수박 겉 핥기' 식으로 대책안을 마련했다는 지적이다. 시공사에서 제출한 사진과 자료 등을 토대로 대책을 마련하다 보니 정작 핵심은 피해갔다는 말이다.

공사 현장에선 이미 3, 4차례 흙다짐이 이뤄졌다. 시방서 기준에 따라 매번 감독관은 지반 침하량과 다짐 후 건조밀도, 층 두께 등을 점검해야 한다. 이는 공사 후 안전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시공사와 감리단 감독관이 제대로 점검했는지도 확인할 수 없었고, 부산국토청도 이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내놓진 못했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도로공사1과 도명성 계장은 "개선이 미비한 부분은 정확한 조사를 통해 시정하고,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된 뒤 작업을 진행하겠다"며 "감리인원이 부족해 충실한 현장관리가 안 된 것으로 판단, 추가 예산 확보 후 감리인원을 더 투입할 예정"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