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성 대곡사 대웅전 국가 보물 '예약'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 예고한 경북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 대웅전. 의성군 제공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 예고한 경북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 대웅전. 의성군 제공

경북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의 대웅전이 국가지정 문화재인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과 의성군은 15일 대곡사 대웅전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조선 숙종 13년(1687) 태전선사가 중건한 대곡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양식 건물이다. 지붕 무게를 균형 있게 받쳐주는 기둥 위 장치를 '공포'라고 하는데, 기둥과 기둥 사이에 수평부재를 올리고 여기에 공포를 둔 것을 다포(多包)라고 한다. 이와는 달리 공포를 기둥 위에만 올린 것을 주심포(柱心包)라고 한다.

문화재청은 대웅전의 공포 형태, 창호 중간에 기둥을 두어 창문이 두 개처럼 보이는 창인 '영쌍창'(靈雙窓), 외부 마루 흔적 등에서 중건 당시 건축 특징과 변화 양상을 볼 수 있어 건축사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대웅전 정면과 양 측면 기둥 아래에는 마루가 설치됐던 흔적을 보이는 큰 구멍이 있다. 이처럼 불전 정면에 마루를 둔 구조나 영쌍창은 18세기 이전 건물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양식이다.

대곡사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 국사인 지공이 원나라와 고려를 다니면서 불법을 펼친 일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절이라고 해서 처음에는 대국사로 했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졌다가 선조 38년(1605) 탄우가 중창하면서 명칭을 대곡사로 바꿨다.

그러나 1960년 대곡사 앞 텃밭에서 통일신라 후기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 불상과 고려 초기 다층석탑이 발견됐으며, 고려 중기 문인인 이규보가 남긴 시에 '대곡사 탐방시구' 등이 있는 점으로 미뤄 창건 시기는 신라 말에서 고려 초로 보는 견해도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