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이 말로만 윤리경영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 국내 30대 그룹 상장사들이 정부기관 및 해외로부터 받은 제재는 벌금, 기소, 시정, 주의 등을 합쳐 모두 309건이었으며 이에 따른 과징금 및 과태료는 2조208억원에 달했다. 과징금'과태료의 경우 처음 부과받았거나 이미 납부한 금액만을 집계했다.
LG가 전체 제재금의 40%에 해당하는 7천6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LG의 과징금은 지난 2012년 LG전자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로부터 브라운관(CRT) 제조업자간 담합 혐의로 부과받은 7천억원이 대부분으로 현재 소송이 진행 중이다. 또 LG유플러스가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 지급과 관련해 5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효성(12건)은 지난해 국세청의 세무조사 등으로 3천700억원의 과징금을 받아 LG의 뒤를 이었다. SK그룹(46건)은 공정위와 세관 등으로부터 총 3천230억원의 제재금을 받아 3위를 기록했다.
이어 KT(4건'1천300억원), 현대자동차(3건'1천억원), 삼성(51건'955억원), 동부(14건'399억원), 동국제강(2건'326억원), 포스코(3건'264억원), 대림(10건'263억원) 순이었다. LS(9건'261억원), 한진(2건'250억원), GS(10건'198억원), 대우건설(7건'185억원), 한화(38건'156억원) 등도 과징금 및 과태료가 100억원을 넘었다. 1개 그룹당 3.5개월에 한 번, 19억원 꼴로 제재를 당한 셈이다. 건수로는 삼성(51건)이 1위를 기록했다.
현대중공업과 금호아시아나는 경고와 입찰제한 등 행정처분을 받았을 뿐 금전적인 제재는 받지 않았다.
제재 유형별로는 과징금이 115건(37.6%)으로 가장 많았고 과태료 87건(28.4%), 개인문책 31건(10.1%), 주의경고 23건(7.5%), 자격제한 19건(6.2%) 등이 뒤를 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