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떠올리게 하는 방화사건이 2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도곡역에서 발생했지만 역무원과 승객들이 신속하게 대처해 대형 인명피해를 막았다.
보상 문제로 사회에 불만을 품은 조모(71) 씨는 이날 오전 10시 54분쯤 서울 강남구 도곡동 지하철 3호선 도곡역에 들어서던 오금 방면 전동차 4호 차에서 시너를 바닥에 뿌리고 불을 붙였다.
전동차에는 370여 명이 타고 있어서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었지만 역무원과 승객은 침착하게 대처했다. 객차에 있던 서울메트로 역무원 권순중(46) 씨는 바로 소화기를 꺼내 불을 끄기 시작했고 이를 본 한 승객도 비상벨 버튼을 눌러 화재 사실을 알렸다.
전동차 기관사는 곧바로 제동장치를 작동하고 관제소에 연락해 상'하행선 열차 운행을 중지시켰다. 열차 내 승객들에게 대피 안내방송을 통해 상황을 알도록 했다. 역사 내 역무원도 소화기를 들고 함께 진화해 불은 약 6분 만에 꺼졌다. 비상벨을 누를 당시 이미 4호 차 안에는 검은 유독가스가 퍼져 앞이 잘 보이지 않았지만 신속한 대처가 있어 큰 피해로 이어지지 않았다.
전동차 9칸 중 5칸의 문이 열리자 승객 270여 명은 승강장으로 나왔고, 나머지 4칸의 승객 100여 명은 비상문을 열고 선로로 몸을 피했다. 역사 내 있던 사람들도 재빨리 역사 밖으로 피했다. 3호선 열차는 도곡역을 무정차 통과하다가 1시간여 만인 낮 12시 24분부터 정상 운행을 재개했다.
이처럼 이날 화재는 사회에 불만을 품은 사람이 고의로 인화물질을 뿌리고 불을 붙이는 등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와 비슷했지만 초기 대응으로 결과는 하늘과 땅 차이였다.
2003년 2월 18일 1호선 중앙로역에 정차한 전동차 안에서 한 지적장애인의 방화로 촉발된 대구 지하철 참사의 경우 기관사가 운전사령에 화재 발생 사실을 보고하지 않은 채 화재를 진화하려다 실패했다. 게다가 종합관제소 근무자는 화재경보가 울렸는데도 운전사령에게 통보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 중앙로역에 진입한 반대편 전동차 기관사 역시 승객 대피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전동차의 기관사와 역무원, 종합사령실 근무자 등이 규정을 무시하거나 안일하게 대처함으로써 대형사고로 이어졌던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