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권 신공항 유치와 관련해 영남권 5개 시'도의 합의 정신을 깨고 독단적인 행동을 보이는 부산과 신공항 무용론으로 딴죽을 거는 수도권에 맞서기 위해서는 대구경북 주도로 민'관과 지역을 아우르는 범시민대책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지역에서는 남부권신공항범시도민추진위원회(추진위)가 2011년 1월 출범해 토론회와 세미나 개최, 성명 발표 등 신공항 조성 여론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뛰고 있다. 추진위엔 대구'경북'울산'경남'호남본부 등이 꾸려져 있고, 운영위원(39명)과 정책자문위원(90명), 기술자문위원(19명) 등이 활동하고 있다. 이외에도 영'호남을 다 합쳐 30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추진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심심찮게 터져 나오는 부산과 수도권의 일방적 주장에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현재 추진위의 위상이 낮다는 지적이 있다. 문희갑 전 대구시장과 심우영 전 경북지사가 명예위원장을 맡고 있으나, 중앙정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회의원이나 현역 단체장의 참여는 거의 없다. 또 지역본부장을 시민단체 대표와 변호사, 교수 등이 담당하지만 지역에서의 장악력과 인지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의 한 인사는 "신공항 문제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전략과 전술은 물론 인적네트워크도 필요하다"며 "지금의 추진위는 미흡한 부분이 많다. 확대'보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추진위 관계자는 "그동안 신공항 유치 활동을 하면서 부산의 독주에 대해 성명을 발표하는 등 모든 노력을 쏟았지만 힘이 없어 한계를 느껴왔다"며 "지방선거가 끝나면 새로운 대구시장이 들어선다. 이를 계기로 추진위의 위상을 한 단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신공항 관련 추진체가 민과 관으로 나눠 있는 점도 힘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민간 추진위와 별도로 지난해 신공항추진단(이하 추진단)을 꾸려 활동하고 있다. 대구시 행정부시장과 경북도 행정부지사, 대구경북연구원장 등이 공동단장을 맡은 추진단은 국토교통부의 항공수요조사에 신공항 수요가 충분하다는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역할에 집중하고 있다.
부산은 2011년 2월 250여 개의 시민'사회'여성'경제 단체들을 총망라해 신공항 가덕도 건설을 위한 범시민 비상대책기구가 결성했다. 현재는 '김해공항 가덕이전 범시민운동본부'와 '김해공항 가덕이전 시민추진단' 등 두 단체가 함께 부산지역의 정치인과 언론의 지원을 받아 공세적으로 신공항 가덕도 유치를 밀어붙이고 있다.
대구의 전문가들은 "가덕도 신공항을 주장하고 있는 부산, 그리고 신공항이 필요하지 않다는 서울과 수도권의 공세에 맞서려면 남부권의 민'관과 정치권을 모두 아우르는 범시민대책기구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대식 영남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민간 추진위가 꾸려져 있지만 지역의 정치인들은 참여하지 않고 한발 물러나 있는 등 예산 집행이나 사업 추진에 한계를 갖고 있다"며 "지방선거 끝나면 대구경북은 물론 울산과 경남 등 다른 지역의 민간단체와 공공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범시민대책기구를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또 "국제공항은 부산만을 위한 시설이 될 수는 없다. 더 강력한 기구나 협의체를 통해 남부권 전체가 이용하기 편리한 후보지를 찾는 것이 과제다"고 강조했다.
김수성 대구경북연구원 신공항정책연구팀 책임연구원은 "대책기구의 역할은 자신의 지역으로 끌고 오겠다고 하는 부산과 갈등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신공항 후보지를 찾을 수 있도록 울타리가 돼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