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백윤학 '지휘봉', 바이올린 김휘은 '앙상블'…대구시향 정기연주회 13일

백윤학
백윤학
김휘은
김휘은

대구시립교향악단의 제404회 정기연주회가 서울과학고, 서울대 공대 졸업이라는 이색 이력을 가진 신예 지휘자 백윤학의 객원 지휘로 13일 오후 7시 30분 대구시민회관 그랜드 콘서트홀에서 펼쳐진다. 베베른, 시벨리우스, 브람스의 작품을 연주하는 이날 공연에서는 세계적인 연주자 이차크 펄만, 핀카스 주커만 등과 한 무대에 섰던 대구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김휘은이 협연자로 나선다.

첫 무대는 베베른의 '파사칼리아, Op.1'로 꾸민다. 20세기 초 현대 음악 중에서도 비교적 대중적인 이 곡은 작곡가 베베른이 처음으로 작품 번호를 부여받은 곡이자 그의 스승이었던 쇤 베르크 문하에서 작곡한 마지막 곡이기도 하다.

이어 바이올리니스트 김휘은의 협연으로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D 단조, Op47'이 연주된다. 북유럽의 정서를 잘 표현한 교향시 '핀란디아'의 작곡자로 유명한 시벨리우스는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를 꿈꿨었다. 그런 그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인 이 작품에는 작곡자의 바이올린에 대한 열망이 그대로 녹아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김휘은은 커티스 음악원과 줄리아드 음악원을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했다. 현재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음악대학원 전액 장학생으로 글렌 딕테로를 사사 중인 그녀는 콜번 재단에서 지원하는 그라나니(Gragnani) 바이올린을 사용하고 있다.

이날 마지막 연주곡은 브람스의 '교향곡 제4번'이다. 브람스는 일생 네 개의 교향곡을 남겼는데 마지막 작품인 이 곡은 앞선 세 작품이 그려내던 동경과 환희 대신 허전한 적막감과 때로는 운명에 대한 강한 반항이 나타난다. 또 '낭만주의시대의 고전주의자'로 불렸던 브람스의 별칭에 걸맞게 이전 작품들보다 더욱 고전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날 연주를 이끌 백윤학 객원지휘자는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오페라 및 오케스트라 지휘자다. 서울대 공대 졸업 후 서울대 음대 작곡과에 지휘 전공으로 편입, 대학원 수료 후 미국으로 가 커티스 음악원과 템플대학교 음악대학에서 공부했다. 이후 국내외 다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으며, 오페라 지휘자 및 코치로 오페라 델라웨어의 부지휘자를 역임했다. 2011년부터는 콘서트 오페라 필라델피아(COPA)의 음악감독 겸 지휘자로 활동 중이다. 현재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는 8월에는 미국 LA 월트 디즈니 콘서트홀 무대가 예정돼 있다. A석 1만6천, B석 1만원. 053)250-1475.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