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달성 대구국가산단이 성공해야 하는 이유

대구지역의 첫 국가산단인 달성군 구지면 대구국가산업단지가 이달 첫 분양에 들어간다. 총 면적 약 855만㎡에 1조 7천억여 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는 대구국가산단 조성 사업은 현재 공정률 27%로 2016년에 1단계, 2018년에는 2단계 사업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만성적인 산업용지 부족으로 고통받아온 지역 기업에 희소식인 동시에 지역 경제활성화에 더없이 좋은 기회라는 점에서 산단에 거는 지역사회의 기대도 크다.

대구시는 국가산단 조성을 계기로 구미와 성서, 달성 1차, 대구테크노폴리스, 국가산단, 창원으로 이어지는 낙동강 산업벨트가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뛰어난 입지 조건은 이런 기대를 한층 키우고 있다. 뛰어난 접근성은 물론 대경과학기술원을 비롯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국가 R&D기관이 인근 테크노폴리스에 입주해 기술지원 및 신기술 이전 등 이점이 많다. 게다가 지능형자동차부품주행시험장 등 첨단시설은 관련 업계로서는 최적의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장점을 얼마만큼 잘 활용해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고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되도록 만드느냐다. 좋은 입지 조건은 역으로 건실한 기업 경영보다는 잿밥에만 신경 쓰는 좋지 못한 토양을 만들어서다. 과거 성서첨단산업단지에 입주한 몇몇 기업이 기대와는 달리 일찌감치 보따리를 싼 선례가 이를 방증한다. 국가산단만큼은 이런 나쁜 전철을 밟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사업의 실패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고 지역 사회 발전에 치명적인 독이 되기 때문이다.

예측대로 대구국가산단이 지역 산업구조를 고부가가치형으로 일신하고 미래 성장동력원이 되려면 대구시는 적극적인 의지와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30조 원의 생산유발 효과나 14만 명의 고용유발 효과 등 전망치가 중요한 게 아니라 실제 국가산단으로서 역할을 다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이는 기업 신규투자와 새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당국이 적극 팔을 걷어붙이고 분위기를 잘 만들어가야 가능한 일이다. 대구시는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지 않도록 모든 공을 들여 성공적인 사업이 되도록 힘을 쏟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