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체국 알뜰폰 농어촌으로 GO!

읍 면 지역 130곳 판매 확대…지역 9곳 추가, 40곳서 팔아

알뜰폰을 판매하는 우체국이 10일부터 226곳에서 359곳으로 확대된다. 농어촌지역 주민도 편리하게 가입할 수 있도록 읍'면 소재 130곳 우체국으로 늘렸으며 연말까지 600여 곳으로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대구경북에서도 지난해 9월 27일부터 시'군 단위 31개 우체국에서 알뜰폰 판매를 시작해 판매 7개월여 만에 1만 가입자를 기록했다. 10일부터는 읍'면 지역 9개 우체국을 추가해 총 40개 우체국에서 알뜰폰을 판매한다. 이번에 확대된 곳은 김천부곡동, 의성가음, 의성봉양, 예천용문, 영덕영해, 칠곡북삼, 봉화소천, 청도금천, 현동(청송) 등 9곳이다.

판매 우체국이 늘어나는 만큼 서비스를 더 개선한다. 현재는 개통 여부만 확인이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통합사이트 구축으로 신청부터 개통까지의 모든 과정을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고객응대가 가능해진다.

알뜰폰 통신사는 새 요금제도 내놓는다. 폴더폰의 비중을 5종에서 7종으로 늘리고 기본료 3천원에 음성 50분을 기본 제공하는 등 저가 요금제를 강화한다. 사용량이 많은 고객을 위한 음성 완전 무제한 요금제도 출시된다.

신규 판매상품과 알뜰폰 취급 우체국은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 경북지방우정청 홈페이지(www.koreapost.go.kr/kb/) 알뜰폰 안내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기도 폭발적이다. 지난해 9월 27일부터 판매를 시작한 우체국 알뜰폰 가입자 수는 일주일 만에 1만 명을 돌파한 데 이어 100일째(1월 3일) 4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 2월 26일에는 7만 명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에는 10만 명을 넘었다.(그래픽 참조)

경북지방우정청 관계자는 "지난달 한국소비자원에서 발표한 알뜰폰 관련 상담사례에서 전화판매로 가입한 장년층의 피해가 많았다. 우체국은 영업이익보다도 고객의 입장에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와 단말기를 추천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