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개 월드컵 대회의 분석 결과 총 705골 중 114골이 후반전 마지막 10분에 터졌다. 한 경기를 10분 단위로 구분했을 때 마지막 10분 동안에 가장 많은 16.2%의 득점이 나온 것이다.
이는 축구경기에서 체력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축구경기는 전'후반을 끊임없이 달릴 수 있는 지구력과 순간적인 스피드, 강한 슈팅을 위한 파워를 요구한다. 축구에서 중요한 요인에 해당하는 기술도 체력이 뒷받침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후반전이나 연장전에 이르기까지 지치지 않는 지구력은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월드컵에서 우승하려면 7경기를 뛰어야 하기에 강한 지구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축구경기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면 지구력만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전'후반을 통틀어 선수들은 10~15㎞를 뛰며, 그 뛰는 거리는 포지션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최전방 공격수나 수비수들은 약 10㎞로 미드필더보다 적게 뛰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번 브라질 월드컵 한국과 러시아의 조별리그 1차전에서 태극전사들이 뛴 전체 거리는 108.129㎞였다. 수비형 미드필더 한국영이 가장 많은 11.356㎞를 뛰었고, 공격형 미드필더 구자철이 11.338㎞로 그 뒤를 이었다. 조별리그 2차전에서 한국 선수는 평균 9.53㎞를 뛰었지만 알제리 선수는 10.28㎞를 뛰었다. 구자철이 11.89㎞로 우리 선수 중 가장 많이 뛴 데 비해 알제리의 벤탈렙은 11.66㎞, 슬리마니는 11.54㎞, 메자니는 11.35㎞, 페굴리는 11.32㎞를 뛰었다. 양팀 선수들의 뛴 거리가 스코어에 반영됐음을 볼 수 있다.
또 미드필더의 움직임 조사에 의하면 미드필더는 4.4초 정도 최고 속도로 달린 후 약 30초간 조깅 또는 걷는 형태의 움직임으로 회복을 한 후 다시 최고 속도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지된 상태에서 빠른 출발의 움직임이 48~70회 정도이며 천천히 조깅하다가 빠른 스프린트로의 속도 변환이 40~62회였다. 물론 선수들이 자신의 최대속도로 달리는 비율은 전체 경기 중 5~6%에 불과하며 비교적 빠른 속도로 달리는 비율은 20~25% 정도이다. 나머지 50%는 조깅의 속도이며 그냥 걸어다니는 경우도 25%를 차지한다.
축구경기에서는 걸어다니는 범위를 최소화하고, 빠른 속도로 달리는 범위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월드컵에서 1경기를 모두 뛴 선수들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볼에 터치한 횟수는 1경기당 평균 60회다. 볼에 많이 터치하는 선수일수록 부지런한 선수로 평가받는데, 그 부지런함은 역시 지구력을 바탕으로 한다. '축구 황제' 브라질의 펠레는 1경기당 평균 96회 볼에 터치해 부지런한 선수로도 인정받고 있다.
김기진 계명대 체육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