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교육장관 후보, 둘러싼 의혹 청문회에서 해명해야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지난달 13일 후보자로 지명된 후 논문표절과 연구 성과 부풀리기, 연구비 부당 수령, 사교육업체 주식 보유 등 매일 새로운 의혹들이 꼬리를 물고 있다. 급기야 후보자가 신문 칼럼을 대필시키고 제자들에게 학부 수업까지 대신하게 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일각에서는 그런 분이 아니라는 내용도 신문사로 보내오고 있다.

문제는 후보자의 해명이다. 김 후보자는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믿어 달라"며 "청문회서 해명하겠다"는 원칙적인 입장이다. 그렇지만 간헐적으로 흘러나온 후보자의 해명을 보면 '믿어 달라'는 그의 말에 동의하기가 쉽지 않다. 처음 제자의 논문 성과를 가로챘다는 지적이 나오자 "제자가 지도교수에 대한 고마움의 뜻으로 그렇게 한 것"이라며 별일 아니라는 반응을 보였다. '제자가 원해서'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사교육업체 주식을 보유한 것에 대해서는 "교원대는 봉급이 꼴찌에서 두 번째여서 노후자금용"이라는 설명이 나왔다. 후보자가 몸담고 있는 한국교원대는 공무원 신분으로 공무원 연금을 받는다. 해명치고는 옹색하다. 어제 제자들에게 신문 칼럼을 대필시켰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후보자는 "대학원생들이 글쓰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 차원에서 글을 써보게 한 것"이라고 했다. 이 역시 고개를 끄덕이기보다는 가로젓게 만든다.

김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해 분위기를 반전시키지 못한다면 여당의 지원도 받기 어렵다. 청문회를 벼르고 있는 야당은 물론 여당에서조차 부정적인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국민 눈높이로 볼 때 객관적 사실이 드러난다면 여야를 떠나… 통과를 못 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여당 원내대표의 발언에선 '장관 자격'에 대한 의구심이 묻어난다.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 청문회는 9일로 예정돼 있다. 후보자의 납득할 만한 명분과 명쾌한 해명이 필요하다. 그러잖으면 낙마시켜야 한다. 그냥 어물쩍 넘어가게 되면 모두에게 상처가 된다. 상처만 안고 등극한 교육부 장관이 박근혜정부가 기대하고 있는 사회부총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