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 및 대구경북지역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일 서울에서 열린 새누리당 중앙당 연석회의에 권영진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나란히 참석, 지역 현안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
권영진 시장은 이날 '도청 이전터 개발 관련 특별법' 및 '뇌연구촉진법 개정' 등 대구시와 관련된 현안 법률 개정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도청이 있던 자리를 국가에서 사들이는 등 정부 지원 근거를 마련하고, 한국뇌병원 설립 근거가 되는 뇌연구 촉진법을 개정해달라는 것이다.
권 시장은 또 국가 첨단의료허브 및 대구광역권 철도망, 국가산단연결 광역철도망 등 기반 구축과 신성장동력 사업 육성 등과 관련된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협조 및 국비 반영을 요청했다.
권 시장은 SW융합클러스터 조성과 관련해 ICT융합벤처센터건립 지원(국비 50억원), 로봇산업클러스터를 위한 내년도 국비 400억원, 물산업 클러스터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및 내년도 국비 146억원 반영 등도 건의했다.
권 시장은 이 자리에서 "K-2 공군기지 이전 지원을 위한 LH공사 등 정부기관의 사업 참여 및 국비 등 국책사업에 준하는 정부지원, 국가산업단지 대기업 및 글로벌기업 유치지원 등도 반드시 필요하다"며 "남부권 신공항도 입지선정 결과를 5개 시도가 수용하는 협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중앙당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관용 지사는 1980년대 IBRD(국제부흥개발은행) 차관으로 건설된 도내 낡은 위험도로 230곳의 구조개선이 필요하며 이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국가가 지원해달라고 했다.
김 지사는 "IBRD차관 지방도는 단순히 포장률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져 현 시설기준에 부적합하며, 도내 교통사고 1만5천 건 중 지방도로에서 발생한 사고가 74.6%를 차지하는 것만 봐도 지방도로의 위험성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고 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위험도로 구간이 230곳(255㎞)에 이르고 노후 위험교량(안전등급 D급)도 44곳이나 된다. 경북도내 노후 위험 도로 구조개선에 모두 5천600억원이 필요한데 현 수준의 지방비 투입(연간 260억원)으로는 20년 이상이 걸려야 안전한 도로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만들어진 지 50년 이상 된 시'군 관리 노후 저수지(3천861곳'전체 저수지의 78%) 정비에 대해서도 국비가 지원돼야 한다고 김 지사는 제안했다.
김 지사는 "저수지 내구연한이 60년인데 도내 시'군관리 저수지 4천903곳 중 78%(3천861곳)가 50년 이상 돼 재해위험이 상존하고 있다"고 했다.
경북도는 아울러 ▷차세대 건설 기계부품특화단지 조성 등 경북의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사업 ▷동서5축(울진~보령) 고속도로 등 광역 SOC사업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 사업 등에 대해서도 중앙정부 및 국회 차원의 관심을 촉구했다.
최경철 기자 koala@msnet.co.kr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