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진핑 중국 주석과 두번째 만난 김관용 지사

지자체 중 유일하게 만찬 참석

2009년 시진핑 주석이 경주를 방문했을 당시 김관용 지사와 악수하는 모습. 3일 만찬은 비공개로 이뤄져 촬영이 이뤄지지 않았다.
2009년 시진핑 주석이 경주를 방문했을 당시 김관용 지사와 악수하는 모습. 3일 만찬은 비공개로 이뤄져 촬영이 이뤄지지 않았다.

시진핑 만찬…동석자 김관용 지사가 전하는 분위기

박근혜 대통령이 3일 한국을 국빈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위해 마련한 국빈 만찬이 큰 화제를 모았다. 세계 외교 무대의 큰 별이자 동북아시아 정세를 좌지우지하게 된 중국의 달라진 위상 때문이다. 특히 이날 만찬에 지방자치단체장으로는 유일하게 김관용 경상북도지사가 참석, 한중 교류를 대표하는 지자체로서 경상북도의 위치를 보여줬다.

이날 만찬은 중국과 대한민국 대표 주자들이 '총출동한' 자리였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만찬에는 중국 측에서 시 주석과 가수 출신인 시 주석 부인인 펑리위안 여사를 비롯해 공식 및 실무수행원 40여 명이 참석했고, 우리 측에서는 정부와 청와대 관계자 외에 김 지사를 비롯해 정계'경제계'학계'문화계'체육계 인사 등 50여 명이 함께했다.

김 지사가 전한 바에 따르면 이날 청와대의 꼼꼼한 준비가 돋보였다. 오후 8시 15분부터 청와대 영빈관에서 시작된 식사 자리에는 펑리위안 여사의 대표곡인 '희망의 들판에 서서'(在希望的田野上)가 울려 퍼졌다. CBS소년소녀합창단의 목소리로 공연됐다. 이 노래가 흘러나오자 펑 여사는 힘차게 박수를 쳤다고 김 지사는 전했다.

펑 여사는 지난 1982년 중국 CCTV의 설 특집 프로그램에 출연, 이 노래를 부른 것을 계기로 중국의 '국민가수'로 불리게 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식사 메뉴는 철갑상어알을 곁들인 아보카도 훈제연어샐러드에 이어 삼색전유화(애호박전, 표고전, 생선전), 홍삼 화계선과 맑은 수프, 궁중버섯잡채와 어선, 장향 양갈비 구이와 구운 채소, 채소볶음밥과 해물면, 신선로가 차례로 나왔다고 한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한중 양국의 미래와 앉아계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라고 건배사를 했고, 시 주석은 "중한 관계의 부단한 발전을 위하여, 중한 양국의 번영과 흥성을 위하여, 양국 국민들의 행복을 위하여, 박 대통령의 건강을 위하여, 이 자리를 함께하신 여러분 모두의 건강을 위하여"라며 다소 길게 건배를 제의했다고 한다. 건배주는 백포도주였다.

지난 2009년 시 주석이 부주석일 당시 경주를 찾았을 때 첫 인연을 맺은 이후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왔던 김 지사는 "2009년 처음 만났을 때처럼 시 주석은 이번 만남에서도 다정한 표정을 보여줬다"고 했다. 김 지사는 이날 만찬장에서 추궈훙 주한 중국대사 등 중국 외교부 관계자들과 테이블을 함께했으며, 경북도가 한중인문교류도시로 선정돼 활발한 교류를 하는 활동 등을 소개했다. 추 대사 등 중국 외교부 관계자들은 경북도와 중국의 왕성한 교류 활동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향후 적극 협력하겠다는 말을 했다고 김 지사는 전했다.

김 지사는 "이날 만찬은 애초 예정됐던 시간보다 훨씬 늦은 오후 10시 20분에야 끝났다. 그만큼 화기애애한 자리였으며, 한중 양국의 향후 관계를 가늠할 수 있었다"고 했다.

한편 정계에서는 새누리당 쪽에서 이완구 원내대표와 주호영 정책위의장, 유기준 국회외교통일위원장, 윤상현 사무총장, 경제부총리 내정자 최경환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박영선 원내대표와 우윤근 정책위의장이 참석했다.

경제계에서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과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한덕수 무역협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차 회장, 김창근 SK이노베이션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권오준 포스코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황창규 KT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 등이 왔다.

학계'문화'체육계에서는 오연천 서울대 총장과 걸그룹인 미스에이 소속 가수 중국인 멤버 지아와 페이, 중국에서도 인기가 있는 바둑기사 이창호 9단 등이 참석했다. 시 주석은 애기가이자 평소 이 9단의 팬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