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여는 상향식 공천 죽이고, 야는 말만 '개혁공천'이고

7'30 재보선을 앞두고 여야가 그리고 있는 '공천 풍경'이 요상하다. 새누리당은 출마하지 않겠다는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에게 출마를 애걸하고 임태희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본인의 출마 희망지역에서는 탈락시키고 다른 지역으로 보내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도 마찬가지다. 다른 지역에 공천을 신청한 인사를 엉뚱한 지역에 전략공천했다. 모두 해당 지역 유권자와 나아가 국민의 뜻은 안중에도 없이 '그들만의 리그'에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을 들어도 싸다.

김 전 지사에 대한 새누리당의 집착은 참으로 가관이다. 윤상현 사무총장은 '스토커'가 되겠다고 했다. 어제는 지역방송국과 대담이 예정된 김 전 지사를 따라 대구까지 쫓아와 "출마하지 않으면 선거 패배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는 협박까지 했다. 선거 승리를 위해 출마가 필요한 인물이라 해도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공천해서는 안 된다. 해당 지역 유권자를 무시하는 것이다. 새누리당이 김 전 지사를 내보내려는 선거구 유권자들은 이런 말에 무어라고 할까.

새누리당은 지난 2월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 드리겠다며 유권자의 뜻에 따르는 상향식 공천을 약속했다. 그리고 당 지도부가 특정 인물을 '찍는' 전략공천은 예외적인 경우에만 시행하기로 했다. 이런 원칙은 이미 6'4 지방선거에서부터 허물어졌다. 7'30 재보선 공천도 마찬가지다. 김 전 지사에 대한 전략공천 집착은 이를 잘 보여준다. 예외가 원칙이 되고 원칙이 예외로 밀려난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달 '2차 개혁공천'을 약속했다. 6'4 지방선거 광주 전략공천 후폭풍과 지분 싸움으로 망가진 '1차 개혁공천'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말만 '개혁'이고 행동의 개혁은 눈 씻고 찾아봐도 없다. 서울 동작을에 안철수 공동대표의 측근인 금태섭 변호사를 전략공천하려고 했으나 당내 반발이 일자 광주 지역에 공천을 신청한 박원순 서울시장 측 인사를 끌어올린 것은 '개혁공천'의 허구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한쪽에서는 국민과의 약속을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뒤집고 다른 쪽에서는 그럴 듯한 말로 국민을 속이는 게 우리 정치권의 현주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