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김명수 후보 자진사퇴보다 지명철회가 답이다

어제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그동안 제기됐던 의혹에 대해 납득할 해명을 내놓지 못한 것은 유감이다. 그의 답변에선 교육부 장관직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란 확고한 교육철학을 읽기 어려웠다. 교육전문가로서 해박한 지식은커녕 일반 상식 수준의 질문에도 답하지 못하는 모습에선 실망을 넘어 절망스러웠다. 청문회를 본 국민들은 김 후보자의 자질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없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김 후보자를 두고 제기된 의혹은 가히 문제백화점 수준이었다. 논문표절에서부터 연구비 부당 수령, 신문칼럼 대필, 사교육업체 주식투자에 이르기까지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오죽하면 김 후보자는 경력의 실체가 없는 사람이라는 야당의원 지적까지 나왔다.

우리는 마뜩잖았지만 그래도 김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해 명쾌히 해명해주기를 바랐다. 하지만 김 후보자는 갈팡질팡했고 답변은 옹색했다. 국민이 준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김 후보자가 후보로 지명된 것이 지난달 13일이다. 한 달 가까이 청문회 준비를 했을 터인데 답변이 이 정도라면 김 후보자의 자질과 소신, 업무 능력은 더 이상 믿기 어렵다.

김 후보는 핵심 의혹이던 논문 표절에 대해 "당시 학계의 문화나 분위기 등을 충분히 감안해 줬으면 한다"고 했다. 부적절한 해명이다."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한 꿈과 끼를 실현시키는 교육을 하겠다"면서도 구체적인 교육 정책을 묻자 "구체적으로 생각은 못했다"고 얼버무렸다. 오죽하면 "아직 내가 왜 장관 후보자로 픽업됐는지 잘 모르고 있다"는 답을 내놔 국민을 실소하게 했겠나. 김 후보자 보호에 나섰던 새누리당 의원들의 해명성 발언이 오히려 안쓰러울 정도였다.

김 후보자는 자진 사퇴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김 후보의 자진 사퇴는 정도(正道)가 아니다. 그보다는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하는 것이 옳다. 그래야 스스로 '왜 장관 후보로 픽업됐는지'도 모르겠다는 후보를 지명한 데 대해 청와대가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국민들은 지금 한 후보자의 무능력함에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그를 부총리 후보로 픽업한 청와대의 인사 시스템에 분노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