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에서 얼른 간식부터 달라며 보채는 체셔를 어르던 중, 예전에 내가 했던 말이 문득 떠올랐다. '앞으로 내가 너(체셔) 먹여 살릴 만큼은 벌어야 할 텐데'라고 했던 말. 정확한 시기까지는 잘 기억이 나질 않지만, 약 7년쯤 전에 체셔에게 했던 말이었다. 당시에 체셔는 비교적 작고 어린 고양이였고, 나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다는 일이 머나먼 미래처럼 느껴지던 철없던 취업준비생이었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고양이와 함께하고 고양이를 돌보는 것은 내 몫이었지만 완벽하게 반려인 입장에서 반려동물을 '책임져' 주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나는 그저 부모님이 주신 용돈으로 체셔의 사료와 간식을 사 주고, 화장실 모래도 갈아주곤 했다. 그랬기에 직접 번 돈으로 자신의 고양이에게, 또는 다른 종류의 반려동물들에게 학생인 나로서는 엄두도 못 내는 용품들을 척척 사 주는 다른 이들이 늘 부러웠다. 그래서 이렇게 반쯤은 부러운 마음에, 그리고 반쯤은 제대로 해 주는 게 없는 반려인으로서 체셔에게 미안한 마음 때문에 나중에 더 잘해줘야지 다짐하며 꺼낸 말이었다.
사실 그때나 지금이나 체셔에게 내가 해 주는 것은 비슷하다. 예전보다 더 비싸고 좋은 간식을 사주거나 멋들어진 캣타워를 떡하니 사주지는 못한다. 오히려 물가가 오르는 바람에 덩달아 비싸진 사료와 통조림 가격으로 인해 늘 좀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방법을 궁리하곤 한다. 하지만 예전과 다른 면이 있다면 이제는 내가 사줄 수 없는 것들로 인해 고양이들에게 미안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체셔와 앨리샤는 캣타워가 없어도 계단과 난간을 캣타워 삼아 오르내리며 때로는 그곳에서 잠을 청하기도 하고, 최고급 사료는 아니지만 그래도 매번 자신들이 먹는 밥에 별 불만 없이 까득까득 소리를 내며 매일 밥그릇을 비워놓는 녀석들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녀석들은 음료수 병에서 분리된 플라스틱 고리 하나만으로도 온 세상 장난감을 다 가진 것처럼 흥겹게 잘 가지고 논다. 덕분에 난 더 이상 녀석들에게 캣타워를 사줘야 할지 말지, 아니면 더 좋은 재료로 만들었다는 사료로 바꾸어 줘야 하나 고민할 필요가 없어졌다.
대신 요즘 들어 그런 점들보다 부쩍 더 신경 쓰게 된 부분이 있다면 바로 '아플 때'이다. 얼마 전 지인의 반려견이 수차례 병원을 가게 된 일이 있었다. 열 살이 훌쩍 넘은 노령견이기에 신체기관 여기저기가 노쇠한 상태였고 결국 큰 동물병원에서 수술과 회복 과정을 거친 후 귀가를 할 수 있었다. 반려견이 집으로 돌아오고 며칠 후에 만난 친구는 꽤 덤덤한 표정으로 그간의 일들을 이야기해줬다. 워낙 큰 수술을 하는 바람에 꽤 많은 돈이 들었고 추가적인 검사 비용으로 인해 앞으로도 돈이 제법 더 들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살아줘서 너무 고맙고 그걸로 된 거라고. 나 역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기에. 그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그 심정이 이해가 됨과 동시에 마음이 아프기도 하고 그래도 너무 다행이다 싶기도 했다. 하지만 한편으론 슬슬 걱정이 밀려오기 시작했다. '만약에 우리 집 고양이들이'란 생각이 연이어 떠올랐기 때문이다.
분명 반려인이 함께 사는 반려동물에게 느끼는 책임감은 부모님이 자식들에 대해 느끼는 책임감과는 다를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생명에 대한 책임감이기에 별것 아닌 양 가볍게 치부하고 넘겨버리기엔 꽤나 무거운 책임감이다. 어쩌면 나이를 먹고 어느 순간이 되면 독립하게 되는 자식과는 달리, 반려동물은 그의 평생을 반려인이 책임져야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오히려 더 무거운 책임이 주어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선택했고,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사이가 된 이상, 내 지인이 그랬듯 어떤 상황에서도 그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반려동물을 대함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책임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그렇기에, 나 역시 꾸준히 체셔와 앨리샤에게, '녀석들을 먹여 살릴 만한' 반려인이 되고 싶고 또 그렇게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장희정(동물 애호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