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부끄러운 경북대 총장 재선거 논란

차기 총장 선거를 다시 하자는 쪽으로 경북대 구성원들이 의견을 모아가고 있다. 경북대교수평의회는 지난달 30일 제18대 총장 선정 규정 위반 논란과 관련해 재선거 권고안을 의결했다. 평의회는 단과대학별 교수회 의장단으로 구성된 경북대 교수회의 공식 대의기구다. 권고안은 경북대본부가 '차기 총장 선거가 명백한 규정 위반으로 무효에 해당한다'며 재선정하겠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대학본부에 이어 경북대교수평의회까지 재선거를 권고함에 따라 차기 총장 재선거가 불가피해 보인다. 차기 총장 임기는 9월 1일 시작된다. 이왕 치를거면 총장 공백 사태를 막기 위해 서둘러야 한다. 총장 선거를 주관했던 선정관리위원회(25명, 교수평의회 위원 20명+직원 5명)는 여전히 선정무효 여부에 대한 확실한 입장 표명을 않고 있다.

이번 재선거 논란은 선관위의 실수에서 시작된 일이다. 유독 공대에서만 규정을 위반해 4명의 교수를 총장임용추천위원으로 선정하면서 촉발됐다. 선관위는'단순 실수'였다고 하지만 결과를 놓고 보면 단순하지 않다.

지난 6월 26일 치러진 경북대 총장 선거에서는 8명의 후보가 난립했다. 4차 투표까지 가는 격전 끝에 최종 2명의 후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한두 표 차로 당락이 엇갈렸다. 선관위의 실수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밖에 없다. 경북대 본부가 법률자문기관에 의뢰해 선거무효에 해당한다는 결론을 얻은 것도 이런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이번 경북대 총장 선거는 선관위의 규정(교수위원은 단대별 3명을 넘지 못한다) 위반 외에도 외부추천위원(총장추천위원 총 48명 중 12명)에 대한 사전선거운동 논란, 선거과정별 참관인 부재 논란, 교수위원(31명)의 단대별 대표성 미확보, 넘버링이 매겨진 투표용지 등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이쯤 되면 교수평의회 위원들이 절대 다수를 구성하는 선관위 역시 대승적 결단을 내리는 것이 옳다. 총장 선거에 관한 모든 권한은 선관위가 쥐고 있다. 선관위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 실수였음을 인정하고 다시 선거를 주도해야 한다. 경북대 차기 총장 선출이 지역민들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구성원 간 마지막 양보와 타협이 필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