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에서는 국법과도 같았던 정절에 내포된 복합적인 의미와 그 숨겨진 비밀을 밝힌 책이다. 남녀 문제와 부부의 문제가 결합된 정절은 남녀 모두에게 적용되어야 하는 상호 개념이지만 조선에서는 여성 일방의 의무개념으로 전개되었다.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하는 조선 500년 동안 성에 대한 관념과 관습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 이 책은 당시의 정치, 제도, 문화, 지식, 담론 등의 전방위적인 공격으로 조선시대의 '정절', 그 실체를 규명하고 있다.
'정절'이라는 두 단어 앞에서 우리가 그리는 그림은 비슷하다. 소복을 입고 언제든 가슴에 찬 은장도를 꺼내들 준비가 된 여인. 평생 한 남자, 즉 한 남편만을 섬겨야 하며, 일생 동안 아버지, 남편, 아들의 뜻을 따르는 것이 여자의 도리임을 뜻하는 '일부종사'(一夫從事)와 '삼종지도'(三從之道)를 연상케 한다. 그 연원을 따져보면 조선 시대 여성의 잔혹한 역사를 탄생시킨 내밀한 국가의 의도와 만나게 된다. 이 정절 개념은 유교이념의 조선 사회를 이끌어온 사실상의 일등공신이었고, 신하의 충절과 아내의 정절이 한 쌍을 이루는 유교적인 정치체제에서 정절은 가족을 유지하고 충절은 국가를 지탱하는 이념이었다.
정절은 임금에 대한 신하의 충(忠)과 어버이에 대한 자식의 효(孝)와 같은 맥락에서 제기된 의무였다. 또한 정절은 부부의 사적 관계를 반영한 도덕 개념이지만 사회 및 국가의 이념과 결부된 공공의 것이 된다. 정절을 지킨 부인을 국가가 나서서 적극적으로 보상하고 '정절을 해친' 분인에 대해 국가가 분노하고 응징하는 것은 무엇 때문이겠는가. 정절은 곧 국법이었다. 이 책은 정절에 내포된 이러한 복합적인 의미와 그 숨겨진 비밀을 밝힘으로써 조선시대 여성의 또 다른 진실을 담아냈다. 423쪽. 2만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