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설치한 쓰레기 무단 투기 감시 장비 '클린지킴이'가 제 역할을 못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클린지킴이의 감지 센서와 카메라가 닿는 곳엔 쓰레기 무단 투기가 사라졌지만 대신 감시망이 닿지 않는 주변은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클린지킴이는 적외선 감지식 녹화 장비로 감시망 내에 인적이 포착되면 '쓰레기를 버리지 마십시오. 과태료가 부과됩니다'라는 경고 문구가 방송된다. 그리고 약 30초 동안 폐쇄회로 카메라가 녹화를 시작하고 이 영상을 바탕으로 무단 투기자를 적발, 과태료를 물린다.
시는 지난해 서구에 클린지킴이 11대를 시범 운영한 후 올해 1월부터 나머지 7개 구'군에 본격 도입했다. 각 구청에 850만원(시비 500만원, 구비 350만원)의 예산으로 골목 등 상습 쓰레기 투기 지역에 이를 설치토록 했다. 이에 구청마다 6~13대의 클린지킴이를 설치, 운영에 들어갔다. 하지만 성과는 기대 이하. 감시망 내엔 쓰레기 투기가 사라졌지만 대신 그 주변엔 여전히 쓰레기 무단 투기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달 28일 오후 1시쯤 중구 삼덕2가 주택가. 클린지킴이가 설치된 곳에서 불과 50m쯤 떨어진 골목 앞에 쓰레기봉투 4개가 놓여 있었다. 상점 주인인 전모(56) 씨는 "예전부터 쓰레기 무단투기가 많아 감시장비를 설치했지만 여전히 감시를 피해 쓰레기를 갖다버리는 일이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같은 날 오후 3시 북구 복현동 다가구주택 밀집지역. 이곳 역시 클린지킴이 바로 옆 골목 모퉁이를 돌자 종량제 및 검은색 봉투가 잔뜩 쌓여 있었다. 한 주민은 "센서를 피해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이 태반이다"고 전했다.
불법 투기자가 카메라에 찍혀도 누구인지 찾을 방법이 없다. 적외선 센서 내에 지나가면 자동으로 녹화되는 방식이다 보니 이곳을 지나는 사람까지 죄다 찍히고, 이 때문에 저장 용량이 부족해져 정작 불법 투기자를 적발하지 못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더욱이 사생활보호 차원에서 얼굴을 정면으로 찍지 못하고 위에서 아래로 찍다 보니 식별도 쉽지 않다.
한 구청 환경관리과 관계자는 "투기자가 다가오는 방향과 얼굴을 알아보기 어려운데다, 얼굴이 보이더라도 거주지를 찾으려면 주민을 일일이 수소문해야 해 사실상 과태료를 한 번도 물릴 수 없었다"며 "이틀마다 녹화 영상을 확인하고 있지만 저장 용량 부족으로 투기 장면이 다음 날 지워지고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고 했다.
이런 문제점들이 시범운영에서 드러났는데도 시는 올해 6천만원 상당의 예산을 투입해 전 구청으로 확대해 예산 낭비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대구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지난해 시범 운영 때 쓰레기 상습 투기 구역의 환경이 개선되다 보니 부작용은 미처 생각지 못했다"며 "지속적인 캠페인을 통해 주민 의식을 개선하고, 장비의 기술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