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와 전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소방안전본부가 7~9월 화재 예방과 관련해 화재통계자료를 발표한 결과, 지난해 이 기간 동안 발생한 화재 333건 중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115건,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114건으로 전체 화재원인 중 68.8%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부주의 화재 115건 중에선 담뱃불에 의한 화재가 51건(44.3%)으로 가장 많았고, 음식물 조리 중 화재 18건(15.6%), 불씨'불꽃'화원 방치 화재가 10건(8.7%) 순으로 집계됐다.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114건)는 단락(합선) 31건(27.2%), 절연 열화 27건(23.7%), 접촉 불량 13건(11.4%), 과부하'과전류 16건(14%), 누전'지락 7건(6.1%)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여름철(7~9월) 대구에서 화재 333건이 발생, 인명 피해 34명(사망 5명, 부상 29명), 재산피해 28억3천900만원의 피해가 났다.
올해의 경우 지난달부터 이달 5일까지 총 135건의 화재로 인명피해 4명(사망 1명, 부상 3명), 재산피해 5억1천300만원이 발생했다. 이 중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48건(35.5%), 부주의 화재는 45건(33.3%)을 차지했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일상생활 속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음식을 조리할 때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여도 화재를 많이 줄일 수 있다"며 "특히 여름(장마)철 습도가 높을수록 전기 절연이 파괴되고, 누전현상이 발생해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나기 쉬운 만큼 전기설비 및 배선 사전 점검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