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외교관, 평양에서 보낸 900일/ 존 에버라드 지음/ 이재만 옮김/ 책과 함께 펴냄
북한 주재 영국대사로 평양에서 근무한 존 에버라드 씨가 북한을 소개하는 책을 냈다. 2006년 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평양에 머무는 동안 지은이는 자전거로 전국 곳곳을 여행했고, 다양한 북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서구인들은 평양에 있는 외교기관 직원들의 복지를 걱정한다. 사람들은 평양 생활이 이루 말할 수 없이 끔찍하리라고 상상한다. 꼭 마찬가지로 북한 사람들은 악의 온상인 미국을 방문하는 것을 걱정한다. 내가 워싱턴으로 출장을 떠나기 전에 북한 직원 두 명이 부디 무사히 다녀오라고 근심 섞인 목소리로 말했다.'
여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많은 외국인들에게 북한은 은둔의 나라이며 난폭한 나라다. 마찬가지로 북한 사람들에게 서방은 위험한 국가다.
지은이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나에게 북한 생활이 어떠냐고 물었다. 서구 매체는 북한을 핵실험을 감행하고, 군사행진을 벌이는 나라, 거대한 감옥, 개인숭배의 나라로 묘사한다.(그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모든 측면 이상으로 북한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실제 국가이며, 북한 주민의 삶은 이 나라의 핵 정책이나 다른 어떤 중대한 국제적 쟁점이 아니라 그들의 가족과 동료, 그리고 세계 어디나 마찬가지로 일상의 온갖 관심사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나는 (북한 주변국) 정책 입안자들이 북한의 운명에 대해 숙고할 때 이 나라 국민의 인간적인 측면을 염두에 두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고 말한다.
지은이는 자신이 만난 사람들을 '주로 평양 사람들이며, 이들 중 대부분은 평양의 엘리트 가운데 비핵심층에 속한다. 그들은 대단한 특권을 누리는 정권의 핵심 엘리트층이 아니고, 그렇다고 빈곤한 노동자나, 북한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농민도 아니었다'고 밝힌다. (지은이는 평양 인구가 200만 명이 조금 넘는다고 볼 때, 비핵심 엘리트층을 100만 명 정도로 추정한다.)
그러면서 '이 책에서 기술한 북한 사람들은 (보통 주민에 비해) 특권을 누리지만 최고의 특권을 누리지는 못하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상당수가 빈곤한 북동부 출신이며 하층 계급 출신인 탈북자들과는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이다. 내가 만난 사람들은 대부분의 탈북자들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았다. 대부분 북한의 빈곤층, 하층 계급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뷰해서 서술한 다른 책들과 다른 점'이라고 말한다.
책은 모두 4부로 구성돼 있다.
제1부는 지은이가 목격한 북한 사회, 즉 북한의 일상, 직장, 여가, 결혼, 외모 가꾸기, 교육, 음악, 질병과 건강, 농장생활, 여행, 종교, 환경, 경축일과 공휴일, 정권, 정치, 경제 등에 관한 것이다.
지은이는 '북한에서 정치는 지구 상 다른 어떤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일상에 깊숙이 개입해 있다. 사람들은 매주 정치적 모임에 참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김씨 부자의 생일 등 축일이나 휴일이면 정권이 지원하는 행사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 '북한 정권은 자기네 사회를 범죄 없는 사회로 묘사하기 좋아하지만 절도, 소매치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가는 이 흔한 범죄로부터 국민을 그다지 보호해주지 않는다'고 말한다.
제2부는 평양의 외국인들에 관한 것이다. 서방 사람들은 평양 생활이 끔찍할 것이라고 짐작하지만 지은이는 '분명 문제가 많지만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그럭저럭 지내는 듯하다'고 설명한다.
제3부는 북한의 과거와 미래, 즉 북한 정권의 탄생, 6'25전쟁과 기근, 기근 이후의 삶 등을 다룬다.
제4부는 '북한 상대하기'로, 세계 각국이 북한을 어떻게 상대해 왔으며, 대북 접근법들이 왜 실패했는지, 미래에는 어떻게 북한에 접근하는 것이 유효할 것인지, 북한이 핵과 군사적 도발을 포기할 수 없는 이유 등을 살펴본다. 책장이 술술 넘어가는 책이다.
361쪽, 1만 8천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