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도내 노후 저수지 붕괴 예방책 있나

터진 못물이 수확을 앞둔 농경지와 아스팔트 도로를 휩쓸고 마을까지 밀려 들어오며 일대를 아수라장으로 만든 영천 괴연저수지 붕괴사고는 주민들의 사전 경고를 무시하고 보수 요청을 외면해서 일어난 사고라는 측면에서 인재(人災)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사고 위험성을 감지하지 못하고 무사안일로 대응한 영천시 당국의 책임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이다.

어느 못 밑이든 다소간 물이 스며 나오거나 고이는 현상은 있기 마련이다. 그리고 외견상 별문제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경중을 가리지 못하는 방심은 기어이 사고를 부르기 십상이다. 특히 괴연저수지는 10년 전 제방 폭이 좁고 길어 위험하다는 지적에 따라 물넘이 수로 확장 공사를 한 전력이 있다. 또 수년 전부터 물이 샌다며 주민들이 보수해 달라고 요구해 온 곳이다.

특히 지난해 4월 경주 산대저수지 붕괴 사고를 보고 불안해진 주민들이 괴연저수지도 터질 우려가 있다며 여러 차례 누수에 따른 보수공사를 요청했으며, 지난 5월에도 시청을 찾아가 보수를 요구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영천시는 겉보기에 별 이상이 없다거나, 예산 부족을 핑계로 보수공사를 미루며 주민 요구를 묵살해 오다가 기어이 화를 자초한 것이다.

산대저수지 붕괴사고 후 안전점검이라도 한번 제대로 해봤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괴연저수지만의 문제가 아니다. 현재 경북도내의 오래된 저수지 10곳 중 8곳은 내구연한이 임박한 노후 저수지라고 한다. 이들 저수지 또한 예산 부족을 이유로 방치되어 있으며, 장마철이나 집중 호우기에는 붕괴사고를 일으킬 위험을 안고 있다.

'예상 밖의 집중호우가 내리면 터질 위험이 없는 저수지가 어디 있으며, 예산만 충분하다면 왜 대비를 못 했을까'라는 핑계로 사고 책임을 전가할 수는 없다. 사안에는 경중이 있고, 일에는 선후가 있기 마련이다. 심각한 결함을 안고 있거나 붕괴 위험이 큰 저수지에 대한 보강 개축부터 서두르며 예산 확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공직자의 당연히 직무이다. 좀 더 눈여겨보고 사전 대비를 하며, 적어도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 과오를 되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