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핫 명품! 영양고추] <중> 명품고추 고부가화 사업

토종고추 복원 추억의 맛으로 브랜드 특화

영양고추가 전국 최고로 인정받는 데는 철저한 품질 관리와 토종 고추 명품화 사업, 명품고추 특화사업 등이 큰 몫을 하고 있다. 사진은 영양고추 축제. 영양군 제공
영양고추가 전국 최고로 인정받는 데는 철저한 품질 관리와 토종 고추 명품화 사업, 명품고추 특화사업 등이 큰 몫을 하고 있다. 사진은 영양고추 축제. 영양군 제공

영양고추가 전국 최고로 인정받는 데는 철저한 품질 관리와 토종 고추 명품화 사업, 명품고추 특화사업 등이 큰 몫을 하고 있다. 타지역의 고추 주산지들이 영양군의 차별화된 품질 관리 정책을 벤치마킹할 정도다.

경북도농업기술원 고추시험장은 토종 고추 복원과 재배기술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영양고추는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을 통해 명성을 지키고 타지역 고추와의 차별화, 각종 병해충 예방 교육과 고추 품종 복원 및 보급 등 고추의 고장다운 정책을 펴고 있다. 복원된 토종 고추 품종은 여타 고추에 비해 월등한 가격으로 거래돼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 농산물 품평회에서 최고 평가

영양고추는 해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사)한국농업경영인 중앙연합회가 함께 마련하는 '전국 으뜸농산물한마당'에서 채소양념분야 대상을 휩쓸었다. 지난 1992년부터 22회 출품해 19차례나 대상과 최우수상, 금상, 특별상 등을 받았다.

행사를 주관하는 한국식품연구원의 장대자 박사는 "영양은 주야간의 일교차가 크고 일조량이 많으며 토양이 고추 생육에 적합하다"면서 "그 덕분에 영양고추는 과피가 두껍고 색상이 월등하며 당도와 신미성분의 조화가 뛰어나다"고 밝혔다.

영양군은 영양고추의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안동상공회의소 지식재산센터와 함께 지난 2010년 '영양고추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을 등록했다.

지난 2006년 설립된 영양고추유통공사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설 승인을 받아 미국 수출길을 여는 등 영양고추의 글로벌 양념화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HACCP 적용업소 지정과 ISO22000 인증을 받는 등 철저한 위생 제품 생산으로 2009년부터 4년 연속 '공기업경영평가 우수기관'에 선정되기도 했다. 올 2월에도 안전행정부의 '재정균형집행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장관상을 받았다. 또한 연간 2회 이상 고객대상 소비자평가를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제품 개선과 품질 향상에 반영하고 있다.

박창환 영양고추유통공사 사장은 "불합리한 고추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위생적으로 고품질의 고춧가루를 생산해 농가소득을 높이고 있다"면서 "품종별 저장과 8단계 수치화 등 국제규격 제품 생산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토종고추 복원으로 전통의 맛 잇는다

영양군은 올해 '명품고추 특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토종고추를 생산, 제품화해 전국 최고의 명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1970년대만 해도 영양 지역에는 '칼초' '별초' '우멍초' '팽이초' 등 다양한 특성의 재래종이 많이 재배됐다. 그러나 현재는 '수비초'와 '칠성초'를 제외하면 명맥조차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토종고추는 매운맛과 단맛이 조화를 이뤄 한국인에 잘 맞지만 일반 품종에 비해 병해충에 약하고 생산량이 적기 때문이다.

영양군은 경북도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과 함께 경북지역 토종 고추 종자 복원에 힘을 쏟았다. 특히 개량종으로 바뀐 '수비초'와 '칠성초'의 원형을 되찾는 등 4개 품종을 복원했다. 수비초(영고4호)는 약간 맵지만 당도가 높고 과피의 질감이 좋다. 영양군 일월면 칠성리에서 유래된 칠성초(영고 5호)는 과실의 허리가 굵어 붕어 모양과 유사해 붕어초라고 불린다.

영양군은 종자와 퇴비 등을 개량하고 토종 고추인 '다복' '수비초' '칠성초' 재배를 유도하는 등 토종 고추 명품화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해 오고 있다. 2007년 2㏊에 그쳤던 토종 고추 재배 면적을 내년에는 전체 고추 재배 면적의 10%인 200㏊까지 늘리고 건고추 판매에서 특화 가공상품 개발과 독자적인 브랜드 상품 등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품종별 작목반을 구성해 비가림시설과 관수시설, 포장지 제작 및 쇼핑몰 구축, 재래종 고추 내병성 연구용역, 고추 채종포 설치, 브랜드 개발, 토종 고추 공원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영양군 강완석 농정과장은 "역병에 내성을 가진 품종 재배가 늘면서 본래 영양고추 고유의 맛이 사라지고 있다"면서 "오랜 기간 복원에 힘쓴 토종 고추의 생산을 통해 매운맛과 단맛의 조화가 잘 어우러진 영양고추만의 명품 맛을 소비자들에게 전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