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봉화 가축분뇨시설 '입지 갈등' 해법 없나

연말 완공 당초 계획 틀어질 판

홍성태 가축분뇨처리시설 장소이전 촉구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이 지역민들에게 가축분뇨처리시설 설립 장소의 부당성을 알리고 있다. 마경대 기자
홍성태 가축분뇨처리시설 장소이전 촉구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이 지역민들에게 가축분뇨처리시설 설립 장소의 부당성을 알리고 있다. 마경대 기자

봉화군과 지역 농협 등이 추진 중인 광역친환경농업단지와 가축분뇨처리시설 입지를 둘러싼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본지 2013년 10월 11일 자 5면 보도)로 사업 추진이 벽에 부닥친 가운데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가축분뇨처리시설 장소이전 촉구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최근 봉화공용버스터미널 앞에서 장소 이전을 촉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대책위는 "기존의 오'폐수 시설도 모자라 추가로 가축분뇨처리시설과 가축분뇨비료공장을 설치하는 것은 3만여 봉화군민을 죽음으로 내모는 만행"이라며 "군민의 뜻이 관철될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봉화읍 석평리 내성천변에 추진 중인 환경오염시설을 인적이 드물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곳으로 이전할 것 ▷여론 수렴을 위한 민'관 합동 동수의 협의체 구성 ▷협의체 구성 후 주민투표와 여론조사를 통해 장소 확정 ▷정치권과 여론주도층, 사회단체 등의 적극적인 개입 요구 ▷봉화농협의 바람직하지 못한 경영철학에 대한 자기반성 ▷중앙정치권과 중앙정부, 각 부처 등은 사안의 중대성을 제대로 인식할 것 등을 촉구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은어축제장과 읍내 인구 밀집 지역이 악취로 고통받을 수 있고 환경오염으로 인해 토지와 상가, 주택 가격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봉화지역 6개 농협과 축협은 지난해 12월 국비와 지방비 등 100억원을 들여 봉화읍 석평리 2만9천926㎡ 부지에 유기질비료공장과 농산물유통센터, 산물벼건조시스템을 설치하는 광역친환경농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당초 올 연말까지 완공할 방침이었지만 반대와 행정절차 미흡으로 사업 착수도 못 하고 있다.

봉화군도 오는 2015년 말까지 사업비 150억원(국비 104억원, 지방비 46억원)을 들여 광역친환경농업단지에 인접한 석평리 일대 3만6천300㎡에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었지만 행정 절차를 늦잡치면서 착공이 미뤄졌다.

이에 대해 봉화군과 농협 측은 "사업 예상부지인 석평리 인근에는 지역 축산농가의 80%가 집중되어 있어 가축분뇨 수거와 물류비 절감 효과가 있고, 농업인들이 유기질비료 공장과 유통센터, 벼건조시설에 접근하기 편해 최적의 입지"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