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또다시 '길거리 투쟁'을 선언하며 장외로 나간 것에 대해 정치권에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내부 노선갈등이 있을 때마다 강경파에 휘둘려 대여 강경투쟁을 택하던 패턴을 또다시 반복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제1야당으로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대안정당의 면모를 보이지 못한 채 '길거리 정치' '점거 농성' '투쟁 정당'의 이미지를 여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치권 한 인사는 "새 정치를 하겠다며 당명까지 바꾼 게 불과 얼마 전 일이다. 특히 7'30 재보선의 참패로 박영선 원내대표가 새 지도부를 꾸리면서 취임 일성으로 내세웠던 '투쟁 정당의 탈피' '생활 정치로의 전환'이라는 구호가 무색해졌다"고 말했다.
이 같은 비판은 야당 내부에서도 터져 나오고 있다.
온건 성향의 국회의원 15명은 거리로 나가자던 당 지도부의 장외 투쟁방침에 26일 반기를 들었다. 이들은 소속 의원들에게 돌린 성명에서 "국회의원들의 단식과 장외투쟁, 이제 이것만큼은 정말 안 된다"면서 "당 차원의 극한투쟁은 곤란하다. 이미 세월호 특별법에 대해 새누리당과 재합의까지 한 만큼 장외투쟁의 명분이 없다"고 말했다. 또 "재야 시민단체와 당의 역할과 선택이 동일할 수 없다. 국회의원은 국회에 있어야 한다"며 "이제 '졸업'할 때도 되지 않았는가. 이번 장외투쟁은 의회민주주의 포기로 기록될 것이며, 우리와 국민과의 사이는 점점 멀어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성명에는 4선의 김성곤'김영환, 3선의 김동철'박주선'변재일'주승용'조경태, 재선의 안규백'유성엽'이찬열'장병완, 초선의 민홍철'백군기'이개호'황주홍 국회의원 등이 참여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두 차례의 협상안 추인 불발로 코너에 몰리자 "대통령이 응답할 때까지 싸우겠다"고 '비상행동'을 선언하며 강경카드를 꺼냈다. 지난해 국가정보원의 대선 개입 의혹을 빌미로 서울광장에 천막 당사를 차리고 100일 넘게 장외투쟁을 벌인 이후 1년 만이다.
또 박 원내대표와 소속 국회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 본관 계단에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새누리당과 대통령이 진실 규명을 위한 요구에 응답할 때까지 유족과 국민 옆에서 끝까지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이후엔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규탄 결의대회를 갖고 "박근혜 대통령은 목숨을 건 단식을 하고 있는 유민 아빠를 만나서 세월호 특별법에 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