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이 30일 대구 중구 중부경찰서 맞은편에 착공된다.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이 2009년 건립에 뜻을 모은 지 약 4년 9개월여 만이다. 4개월여 뒤인 12월 10일 세계인권 선언의 날에 완공, 일제의 군홧발에 짓밟힌 진실을 세상에 드러내고 유린된 인권을 보듬어줄 현장으로 길이 남을 전망이다.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착공에 약 5년이나 걸리도록 했다는 것은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250만 대구 시민의 건강한 사회성이 부족했다고 질타받아 마땅하다. 대구시는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 모임에서 위안부 역사관 건립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부했다. 위안부 역사관 건립은 국가사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우선이며, 민간단체 기념관 건립은 민간단체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며 (예산 지원) 불가를 통보했다.
역사적으로 봐서도, 사회적으로 봐서도, 인간적으로 봐서도 인정머리가 없는 결정이다. 나라가 힘이 없어 제대로 한번 싸워보지도 못하고 한일합병에 의해 주권을 빼앗긴 탓에 여성들조차 보호하지 못하던 비정상적인 시절이었다. 이때 치욕적 삶을 강요당한 할머니들이 이제 얼마 남지 않은 노후를 서로 기대고 의지하며 죽는 날까지 역사의 증인으로 살 것을 다짐하는 위안부 역사관 건립에 갖은 명분을 대며 외면한 것은 결코 잘한 결정이 아니다.
고 김분선 할머니를 포함한 위안부 할머니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이승을 떠나는 마당에, 십시일반 주머닛돈을 풀어서 위안부 역사관을 짓겠다는데 단 한 푼의 대구시 예산도 지원하지 않은 것은 변명할 여지가 없다. 위안부 역사관 건립은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2억 원을 배정받았을 뿐, 나머지 7억 5천만 원은 위안부 할머니들과 시민단체, 대학생 등이 냈다. 이제라도 대구시와 대구시의회는 위안부 역사관 건립의 부족분 3억 원에 대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
대구에는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4년에 동촌면(현 검사동 984)에 약 50평 규모의 2층 목조건물로 된 종군 위안소가 있었기에 희생된 여성들도 많은 지역이다. 우리 스스로 그들을 받아들이고, 여생을 평화롭게 지내시도록 돌봐 드려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