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어 수능 절대평가 땐 국어·수학 풍선효과 어쩌나

현 中3부터 도입, 영어 이외 사교육 더 부담 벌써 부작용 제기

이르면 2018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에서 절대평가 방식이 도입될 전망이다.

27일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정부 세종청사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황 장관은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것으로 큰 방향을 잡았다. 2017학년도나 2018학년도부터 실시하는 문제를 두고 실무선에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황 장관이 '대입 전형 3년 예고 원칙'을 지킬 뜻을 비침에 따라 절대평가 도입 시기는 2018학년도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 원칙은 새로운 대입 전형을 시행하려면 최소한 시행 3년 전에 예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2018학년도는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대학입시를 치르는 때다.

황 장관이 이날 밝힌 절대평가 도입 취지는 영어 교육의 정상화이다. 그는 변별력 위주의 평가 방식을 유지하면 1등급인 4% 내에 들어가기 위해 무리한 투자를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절대평가는 일정 점수에 도달하면 그에 해당하는 수험생이 얼마나 되는지와 관계없이 해당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황 장관은 "과도한 사교육 시장에다 수십 년에 걸쳐 영어에 투자한 것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무슨 결실을 냈는지 의문"이라며 "모두 영어학자나 전문가와 같은 영어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고교 교육에선 해외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배우면 된다"고 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 부작용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 평가이사는 입시경쟁 체제가 존재하는 한 영어 사교육 시장이 작아지는 만큼 다른 영역의 사교육 시장이 커지는 '풍선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는 "절대평가가 영어에만 적용되면 대입 전형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 영어 학습 부담이 줄어들 수는 있겠지만 수학, 국어 등 다른 영역을 준비하는 부담이 오히려 늘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김기영 매일신문 교육문화센터 연구실장은 "절대평가 방식이 도입돼 수능 영어의 변별력이 약해지면 각 대학이 영어 면접 등 지원자의 영어 실력을 평가할 별도의 방법을 찾으려고 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