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공기를 오염시키면서 폭리까지 취하고 있다는 의혹이 인 한국지역난방공사에 대해 정치권이 전면적인 실태 파악에 나선다.
공기업인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친환경 원료인 액화천연가스(LNG) 대신 저렴한 벙커C유를 열병합발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는 본지 보도(8월 7, 11, 20, 22, 28일 자 1면 등 보도)를 접한 국회의원들이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홍지만 새누리당 국회의원(달서갑)은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본지 기자와 만나 보좌진에게 지시해 폭리의 규모를 비롯해 현재까지의 진행 과정, 다른 시'도와는 달리 유독 대구에서 이런 일이 발생하는 이유, 대안 마련 등 A부터 Z까지 파악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산자위 소속 김상훈 국회의원(서구)은 "이번 국감 때 이 문제를 가지고 한국지역난방공사에 지적할 계획이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자체 조사를 해보니 청주의 경우 사용연한이 다 돼 조만간 LNG로 교체한다는 로드맵이 나와 있다"며 "대구도 청주와 같이 연계해서 교체하는 방안에 대해 집중 질의할 계획이다. 또 현재 지역난방공사가 자신들의 예산에 비해 교체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대구시민들이 오염된 공기를 언제까지 마시게 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국회 차원에서 최선책을 마련해 지역난방공사와 협의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벙커C유는 천연연료인 LNG보다 미세먼지, 황산화물 등 오염물질을 최대 수천 배 더 배출한다. 최근 대구시와 대구시의회, 환경단체 등이 본지 보도 이후 문제 해결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도 지역 정치권에 자극을 주고 있다.
대구가 지역구는 아니지만 경북의 산자위 소속 의원들도 힘을 모으고 있다.
장윤석 국회의원(영주)은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대구경북이 문제의식을 가지고 함께 접근한다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면서 "산자위 전체 상임위 차원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보겠다. 필요한 자료가 있다면 매일신문에도 자문하겠다"고 말했다.
정수성 국회의원(경주)도 "특히 미세먼지 때문이라도 벙커C유는 대도시 사용이 제한된 것으로 아는데 어떻게 대구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말하고, "황산화물과 미세먼지는 사람에게 질병을 안길 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건축물에도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문제를 풀어보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국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현재 대구열병합발전소의 내구연한이 많이 남아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공기업이고 공기업의 설비는 공공시설이다. 대구열병합발전소의 설비는 법적으로 하자가 있는 것도 아니고 매일신문의 보도 내용처럼 그렇게 환경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지도 않는다"며 "이런 상황에서 공사가 스스로 설비를 철수하거나 교체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