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갑다 새 책!] DMZ 아픔의 흔적이 관광자원으로

DMZ 아픔의 흔적이 관광자원으로/ 권석훈 지음/ 기문당 펴냄
DMZ 아픔의 흔적이 관광자원으로/ 권석훈 지음/ 기문당 펴냄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의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한 책이다. DMZ에 있는 생태계와 문화재, 군사유적지를 관광단지로 만들면 세계적인 명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곳은 50여 년간 훼손되지 않은 동'식물 자연환경과 제대로 발굴되지 않은 문화재들을 갖고 있다. 또 한국전쟁의 참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최근 떠오르고 있는 다크투어리즘(역사교훈여행) 관광객을 모을 수 있는 곳이다.

DMZ는 1953년 한국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군사적 완충지대로 설정됐다. 휴전선으로부터 남'북으로 각각 2㎞ 지대다. 범위를 넓혀 남'북으로 각각 25㎞까지 설정된 민통선(민간인 출입 및 행위 통제구역)도 포함하면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DMZ 일대는 총면적 1만2천500㎢, 한반도 전체 면적의 18%에 달하는 공간이다.

책에서는 DMZ를 식물생태계'동물생태계'문화유적지'군사유적지로 나눠 살펴보고, 통일 이전 및 이후의 이용 방안을 모색해본다. 또 토지 소유권 문제, 토지 보상 및 보상 재원 확보 방안, 토지 활용 계획 등 실무적인 준비 사항도 자세히 따져본다. 저자는 "DMZ에 수많은 외국 관광객이 운집하면 평화 분위기도 더욱 무르익을 것"이라며 "건설'조선'전자'자동차'철강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추격당하고 있는 한국은 새로운 관광산업 발굴에서 길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봉화 출신인 저자는 매일신문과 중앙일보 기자, 청구주택 이사, 대동개발 대표 등을 역임했다. 현재 건설기술교육원 외래교수로 있다. 120쪽, 1만2천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