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산'구미를 동서로 잇는 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 사업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은 고무적이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고, 내년 상반기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는데, 기획재정부가 이 사업을 추진하는 쪽으로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귀띔이다. 하긴 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은 대통령의 공약사업이다.
또한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유휴선로를 이용한 사업으로, 기존의 경부선과 역사 5개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명분과 경제성을 모두 갖췄다는 평가이다. 경산~대구~구미 간 61.85㎞를 연결하는 대구광역권 철도망이 구축되면, 경산'동대구'대구'왜관'구미역 등 기존 5개 역에다 원대'서대구'왜관공단'사곡역 등 4개 역이 신설되면서 모두 9개의 정거장을 갖추게 된다.
15~20분의 배차 간격으로 하루 61차례의 열차가 운행될 예정으로, 구미에서 경산까지 소요시간이 43분 정도로 단축될 전망이다. 당장 출'퇴근시간 교통편의가 크게 개선되는 것이다. 그러니 침체된 대구광역경제권 활성화에 대한 지역민들의 기대감이 이 철도망 구축에 쏠리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대구와 경산'구미의 상생 발전은 물론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이 사업은 꼭 이루어져야 한다.
대구광역권 철도망이 구축되면 대구는 고급인력의 일자리 확장으로 경기가 되살아나고, 구미와 경산은 정주 여건 개선으로 인력난에 숨통을 트면서 기업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다. 그래서 지난해 가을 박근혜 대통령이 대구국가산업단지 기공식에 참석했을 때도 지역 경제인들이 이를 재차 건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에 관계없이 추진해야 할 사업이었다.
경제성과 사업성만 따진다면 대구혁신도시에 공공기관 이전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고, 세종시에 행정도시를 건설할 이유도 없을 것이다. 수도권은 자꾸만 비대해지는 반면 지방은 점점 더 낙후될 것인데, 무엇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이며 누구를 위한 비용'편익분석인가. 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 사업은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역 불균형 발전 해소를 위한 정책적'정치적 차원에서도 꼭 이루어져야 할 대구경북의 현안이자 숙원인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