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의 일방적 추진으로 이웃사촌 간 감정의 골만 패이게 한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 문제가 갈수록 꼬여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낙동강 상류지역인 경북 북서부권과 대구가 상생발전할 수 있는 '물 선순환 구조'라는 취수원 이전 대안이 제시돼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09년 국토해양부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 방안으로 ▷안동댐에서 도수관을 설치해 취수하는 방안과 ▷낙동강(김천)에 보를 만들어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안 ▷건설 중인 영주 송리원댐을 활용하거나 ▷경남 함양댐을 건설해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 4가지를 제시했었다.
이 과정에서 대구시와 대구 정치인들이 안동댐 이전 안을 성급히 발표하자 안동을 비롯한 경북지역 의원들은 "정부와 경상북도, 대구시,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대구취수원 이전계획에 대해 들은 바 없다",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취수원 이전계획을 추진한다면 지자체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힐 것이다" 등 반응을 내놓으면서 취수원 이전은 제대로 논의조차 못한 체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와 관련 안동시청에서 15년 동안 상수도업무를 봐온 김휘태(교통행정과'공업 6급) 주무관은 낙동강 상류에서 취수하더라도 하천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대구지역 하수처리수를 낙동강 상류지역 취수지점에 방류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낙동강 물 선순환 구조' 방안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김 주무관은 "방류수 오염에 대한 주민 인식만 변화될 경우, 별 어려움 없이 지역 간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대구와 취수지역을 연결하는 양방향 관로 매설을 통해 대구지역 1일 하수처리 방류량 180만t을 취수지점에 방류하고, 1일 90만t의 물을 취수해 대구지역 식수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럴 경우 하천방류수는 4㎞ 정도 흘러가는 동안 자연정화작용을 통해 맑아져 하천유지수 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취수지역 정수시설 설치로 300여 명의 고용창출과 연간 320억원 정도의 물 판매수익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김 주무관의 설명이다.
상류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관련, 김성현 한국생명문화원장은 안동시의회가 마련한 '안동'임하댐 수리권 확보에 관한 포럼'에서 "정부가 낙동강 물관리 대책으로 마련한 '낙동강 수계물 관리 및 주민지원에 관한 법률'이 오히려 상'하류 상생과는 전혀 다른 상류지역 규제를 공고히 하고 있다. 수리권을 지자체가 일정 정도 관여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상생할 수 있는 길이 나올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안동지역 한 정치권 인사는 "대구의 취수원 문제는 물을 보유하고 있는 안동을 비롯한 낙동강 중상류지역이 물 건너 불 보듯 할 수 없는 문제다. 정부나 대구시가 지금부터라도 물을 보유한 중상류지역과 광폭의 상생협의를 시작해 다양한 방법의 물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