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하수처리수 낙동강 상류에 붓고 상류 물 대구식수로"

안동시청 김휘태 주무관

국토교통부의 일방적 추진으로 이웃사촌 간 감정의 골만 패이게 한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 문제가 갈수록 꼬여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낙동강 상류지역인 경북 북서부권과 대구가 상생발전할 수 있는 '물 선순환 구조'라는 취수원 이전 대안이 제시돼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09년 국토해양부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 방안으로 ▷안동댐에서 도수관을 설치해 취수하는 방안과 ▷낙동강(김천)에 보를 만들어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안 ▷건설 중인 영주 송리원댐을 활용하거나 ▷경남 함양댐을 건설해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 4가지를 제시했었다.

이 과정에서 대구시와 대구 정치인들이 안동댐 이전 안을 성급히 발표하자 안동을 비롯한 경북지역 의원들은 "정부와 경상북도, 대구시,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대구취수원 이전계획에 대해 들은 바 없다",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취수원 이전계획을 추진한다면 지자체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힐 것이다" 등 반응을 내놓으면서 취수원 이전은 제대로 논의조차 못한 체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와 관련 안동시청에서 15년 동안 상수도업무를 봐온 김휘태(교통행정과'공업 6급) 주무관은 낙동강 상류에서 취수하더라도 하천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대구지역 하수처리수를 낙동강 상류지역 취수지점에 방류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낙동강 물 선순환 구조' 방안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김 주무관은 "방류수 오염에 대한 주민 인식만 변화될 경우, 별 어려움 없이 지역 간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대구와 취수지역을 연결하는 양방향 관로 매설을 통해 대구지역 1일 하수처리 방류량 180만t을 취수지점에 방류하고, 1일 90만t의 물을 취수해 대구지역 식수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럴 경우 하천방류수는 4㎞ 정도 흘러가는 동안 자연정화작용을 통해 맑아져 하천유지수 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취수지역 정수시설 설치로 300여 명의 고용창출과 연간 320억원 정도의 물 판매수익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김 주무관의 설명이다.

상류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관련, 김성현 한국생명문화원장은 안동시의회가 마련한 '안동'임하댐 수리권 확보에 관한 포럼'에서 "정부가 낙동강 물관리 대책으로 마련한 '낙동강 수계물 관리 및 주민지원에 관한 법률'이 오히려 상'하류 상생과는 전혀 다른 상류지역 규제를 공고히 하고 있다. 수리권을 지자체가 일정 정도 관여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상생할 수 있는 길이 나올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안동지역 한 정치권 인사는 "대구의 취수원 문제는 물을 보유하고 있는 안동을 비롯한 낙동강 중상류지역이 물 건너 불 보듯 할 수 없는 문제다. 정부나 대구시가 지금부터라도 물을 보유한 중상류지역과 광폭의 상생협의를 시작해 다양한 방법의 물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