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회적 기업의 꿈] <2> 대구 첫 '사회적경제 대토론회'

"민관 연대·소통, 사회적 경제 성공 열쇠"

지난 1일 대구에서 열린
지난 1일 대구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생태계 및 민관거버넌스 구축 대토론회'는 대구의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대표·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사회적경제가 시장경제 보완의 장으로 커가는 동안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과 민관 파트너십 구축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확산해왔다. 이런 가운데 대구에서 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 영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해 '사회적경제 생태계 및 민관거버넌스 구축 대토론회'가 열렸다.

◆대구, 사회적경제 선도도시로

지난 1일 대구 남구 대명동 '꿈꾸는 씨어터'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생태계 및 민관거버넌스 구축 대토론회에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공동 주최자로 대구사회적기업협의회, 대경협동조합연합회, 대구사회적협동조합협의회, 대구마을기업협의회, 대구동구사회적경제협의회, 대구달성군사회적경제협의회, 대구수성구사회적경제협의회, 대구지역자활센터협회, 대구광역자활센터, 사회적기업활성화대구네트워크, (사)대구시민센터, (사)대구사회연구소, (사)커뮤니티와경제, 대구시민의료생활협동조합, 대구지역iCOOP생협 등 대구 소재 사회적경제조직 대표·실무자 등 70여명이 참가했다.

1부에서는 한국협동사회경제연대회의 문보경 집행위원장의 '사회적경제 성장의 필수조건, 생태계와 거버넌스', 충남발전연구원 김종수 책임연구위원의 '충남사회적경제네트워크 사례를 통해 본 연대화 협력'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문 위원장은 사회적경제 주체 간 연대와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사회적경제 조직 간 거래, 사업 협력 등을 통해 경제 활동 규모를 확장시키고 시장 지배력을 높여나가야 한다"며 "지자체의 직접지원에 의존하다 보면 사회적경제 주체 간 협력을 등한시할 우려가 있는 만큼 사회적경제 주체 간 통합과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사회적경제 거버넌스를 위해 민관이 사회적경제의 공동생산자라는 수평적 파트너십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성공적인 평가를 받는 충남지역 사회적경제 현장을 예로 들었다. 그는 "사회적경제는 단순히 자본주의 대안이 아니라 사회의 시스템을 바꾸어나가는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민간에서의 역량강화 없이는 관 주도 사회적경제로 흐를 우려가 크다. 광역지자체보다는 시·군 단위 사회적경제협의체를 만들어 기초 역량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적경제 활성화, 연대와 소통이 답

2부 토론에서는 사회적경제 현장전문가 11명의 생생한 목소리가 봇물처럼 터져 나왔다. 인길연 대경협동조합연합회장은 "이제 사회적경제는 각 주체가 이(異) 업종 간 협업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또 북유럽의 협동조합이 성공한 원인은 경제적 가치보다는 사회적 가치를 실천했기 때문이다. 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이 상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종화 대구사회적협동조합협의회장은 '공동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사회적경제 주체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공동의 경험을 축적하고 나누면서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조성해나가자"며 "대구시도 조급한 성과를 내려 하지 말고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성숙해지기를 기다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강현구 대구동구사회적경제협의회장은 사회적경제의 또다른 주체인 관(官)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시와 달리 아직 대구의 각 구·군 차원에서는 사회적경제에 대한 관심이 낮다. 사회적경제가 구·군 단위에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역공동체가 함께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고 했다.

이은희 대구행복iCOOP생협이사장도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참여하는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iCOOP생협은 지역에 76개 조합과 150여개 매장을 운영 중인 성공적인 조직이다. 그는 "생활협동조합은 사업체이지 봉사기관이 아니다"며 "각 단체들은 어떻게 사업을 이끌어갈지 고민을 해야한다. 단체간 교류나 학습모임은 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재경 커뮤니티와경제 소장은 "국내의 사회적경제는 관 주도로 진행되다보니 정작 지역사회에서의 합의가 부족한 면이 있다. 그래서 사회적경제 주체간 협력과 연대가 필요하다"며 "모범적인 사회적경제 생태계·거버넌스를 구축해 대구를 협동·공동체의 도시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구시의 시정 방향도 소개됐다. 현재 516개 기업, 종사자 4천500여명인 대구의 사회적경제 규모를 2018년까지 1천600개 기업, 2만여명 종사자 규모로 늘린다는 것.

시 양광석 사회적경제과장은 "대구시는 올해 민선6기 출범과 동시에 사회적경제과를 신설할 정도로 이 분야에 큰 의욕을 갖고 있다"며 "가칭 '대구사회적경제민간정책협의회' 같은 사회적경제 민간주체들을 대표하는 협의체를 조직해 시와 함께 정기적으로 사회적경제 발전방안을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최병고 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