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의 이성당(李盛堂)은 '앙금빵'으로 전국적인 유명세를 탄 빵집이다. 팥으로 속을 채운 단팥빵을 말하는데 쌀가루로 만들어 빵 껍질이 얇은 것이 특징이다. 1945년부터 영업을 해왔으나 일제강점기 때인 1920년대 일본인이 지금의 가게에서 운영하던 이즈모야(出雲屋) 제과점이 그 출발이다.
이성당의 내력에서 짐작할 수 있듯 흔히 앙꼬빵으로 불리는 팥빵은 19세기 후반 일본에서 탄생했다. 기무라 야스베에(木村安兵衛)가 1875년 도쿄 긴좌에 연 기무라야 제과점에서 '앙팡'(Anpan)을 만들어 팔면서다. 이전까지 일본에 알려진 빵은 약간 짜고 신맛 나는 것으로 일본인 입맛에 잘 맞지 않았다. 이에 착안해 효모로 밀가루 반죽을 발효시킨 후 팥소를 넣어 구워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우리나라에도 전해진 것이다.
'앙꼬 없는 찐빵'이라는 말처럼 팥은 팥빵의 맛을 좌우하는 주재료다. 팥은 중국과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된 작물이다. 국내 구석기 유적에서 팥이 출토되기도 했다. 반면 서양에서 팥은 낯선 작물인데 서양 요리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가도 있다.
팥은 한자어로 적두'홍두'소두'홍반두(紅飯豆)'미적두(米赤豆)라 하고 일본에서는 작은 콩이라는 뜻에서 '아즈키'로 부르는 등 다양한 이름을 갖고 있다. 흰색과 검은색, 회색 팥도 있지만 붉은색이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는 단순히 붉은 콩(Red Bean)이라고 부른다. 동북아시아는 팥의 주산지이자 최대 소비지라는 점은 팥의 명칭과 다양한 가공법에서도 알 수 있다.
경주 특산품인 '황남빵'도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유명한 팥빵이다. 1930년대 경주 최씨 집안이 황남동에서 만들어 팔기 시작해 황남빵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최근 들어 황남빵 덕택에 팥 재배농가가 거의 없던 경주가 팥 주산지로 자리매김했다는 소식이다. 지난 2011년부터 매년 황남빵 업체가 경주에서 생산되는 팥을 후한 값에 전량 수매하면서 한 해 생산량이 200t을 넘어섰다.
황남빵 측은 올해도 13개 경주 읍면 570여 농가를 대상으로 수매에 들어간다. 재배농가는 안정된 판로를, 황남빵 업체는 지역에서 나는 로컬푸드로 팥빵을 만들 수 있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식이다. 지역 명물이 농작물 지형도까지 바꾸는 시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