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인적쇄신론' 새누리 안에서 솔솔

심재철 등 친이계 중심 "투명 통치 시스템" 요구

박근혜 정부 비선(秘線)실세로 거론되는 정윤회 씨의 '국정개입 의혹' 파문이 확산되면서 청와대의 인적 쇄신 필요성을 제기하는 여론이 높다. 특히 새누리당 내에서도 친이(친이명박)계를 중심으로 인적 개편을 포함해 국정 동력을 회복하기 위한 쇄신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청와대와 새누리당 지도부 등은 '찌라시' 수준의 보고서가 유출되면서 실체 없는 사건이 부풀려지고 있다고 '비선실세의 국정개입' '박근혜 대통령 측근들의 권력다툼설' 등을 일축하고 있지만, 청와대의 최근 사태를 바라보는 국민적 시각은 싸늘하기만 하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취임 이후 처음으로 30%대로 떨어진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상당수 국민들은 청와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공식문서가 외부로 유출되고, 인사 검증 시스템이 허술하게 작동한 것 등은 모두 청와대 내부 책임으로, 이에 대한 인적 개편과 시스템 보완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 이후에도 국민적 의혹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친이계 4선의 심재철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과감한 국정 쇄신책으로 새 출발을 해야 한다. 의혹을 해소하고 국정 동력을 추스르기 위해서는 인사 혁신, 투명한 통치 시스템 작동, 대내'외적 소통 강화 등의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1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는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쇄신책을 내놔야 한다. 문건 파동을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국정 운영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도록 모든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18일 인적 쇄신 가능성에 대해 "여론을 잘 듣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경욱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기자들이 "정치권에서 개각이나 인적 쇄신 이야기가 나오는데, 내부 분위기는 어떤가"라고 하자, "쇄신 요구에 대해 (청와대가) 귀를 닫는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언론에서 제시하는 방안들, 고귀한 의견들에 대해 눈여겨보고 있다"고도 했다.

김병구 기자 kbg@msnet.co.kr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