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원전 사이버 보안체계에 또 구멍, 정부 대책은 있는가?

원자력발전소의 허술한 사이버보안 체계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지난 10월 한국수력원자력에 대한 국정감사 자료만 보더라도 2010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원전에 대한 해킹 시도가 무려 1천840여 회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원전 내 컴퓨터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거나 허가받지 않은 USB를 무단 사용한 사례도 한수원 자체 점검에서 적발되었다.

지난달 초 정부의 한빛'고리 원전을 상대로 한 보안감사에서는 원전 관제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한수원 직원 19명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된 것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러니 폐기물 처리업체가 원전 내부를 맘대로 휘젓고 다녔고, 전산시스템 접속기록 보관기간이 3일에 불과해 그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추적조차 불가능했다.

국가 보안시설인 원전의 전산관리 실태가 고작 이 정도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당시 정부의 대응은 더 기가 막혔다. "사실상 해결 능력이 없으니 외부 전문기관에 맡겨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겠다"는 말만 내놓은 것이다. 이번에는 고리와 월성 원자력발전소의 제어시스템 도면 등 기밀 자료가 대거 해킹된 것으로 확인돼 국가 전력안보체계에 또 비상이 걸렸다.

안 그래도 툭하면 멈춰서는 원전 때문에 국민 불안이 숙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원전의 안전 여부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자 국가의 기반을 좌우하는 중대 사안이다. 대규모 사이버테러의 위협이 높아질수록 정부의 신속한 대응도 시급하다. 원전의 보안체계를 재점검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등 원전 사이버보안 기강 확립에 주력해야 할 시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