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암 김정길 "조간 매일신문 뉴스 콘텐츠도 혁신 기대"

조간 전환에 축하 메시지

사람에게 나이가 있듯이 신문에도 나이가 있습니다. 올해로 68년, 매일신문의 나이입니다.

또한 그날그날 신문지(紙)에는 따로 나이가 붙습니다. 지령(紙齡)이란 이름으로 몇 호(號) 몇 호라고 매겨지는 신문지 나이입니다. 오늘자 신문지의 나이(지령)는 21658호인 셈입니다.

그런데 실제 나이는 이보다 더 많습니다.

지난 68년간 숱한 호외(號外)가 발행됐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 SNS 시대에는 호외가 사라졌습니다. 신문세계에 시간만 다투는 뉴스 경쟁은 큰 의미가 없어진 것입니다.

68년간 석간신문을 지켜오다 조간으로 바꾼 결단은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용기 있는 변화로 여겨지지만 여기서 매일신문의 새로운 숙제가 등장합니다. 조간으로 바꿨다고 저절로 더 좋은 신문이 되느냐는….

미디어의 핵심은 시간이 아니라 뉴스 콘텐츠입니다. 저녁신문이든 아침신문이든 내용이 알차지 않으면 68년 만의 변신은 실패할 수 있습니다.

배달만 빠르고 돼지고기, 양파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는 자장면집은 외면받는 이치와 같습니다. 68년간 지역 최고 언론사의 명예를 지켜온 매일이 시간에의 도전과 함께 뉴스 콘텐츠 혁신에 더 큰 승부를 걸고 승승장구하기를 성원하고 기대합니다.

***수암 김정길 사장은 매일신문 기자 출신으로 매일신문에 '수암 칼럼'을 장기간 연재해 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