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마지막 목요일인 오늘은 아쉽지만 'ㅋㅋㅋ클래식'도 마지막 편이 될 것 같습니다. 음악에서 만큼은 알고 모름이 아닌 좋고 싫음이라 여기는 저로서는 클래식 음악의 편견을 누그러뜨리고자 했습니다. 바쁜 일정 속에서 부족한 글재주로 의욕만 앞세운 채 쓰다 보니 두서없는 글들만 적은 것 같습니다. 아직 못다 한 이야기도 많이 남아 아쉬움은 더하지만 이제 'ㅋㅋㅋ클래식'도 접을 시간이 왔네요. 접는다는 것, 언젠가 펼쳐보기 위함이 아닐까요. 추후 기회가 된다면 더 양질의 내용으로 알차게 꾸며 독자들과 만나고 싶은 바람을 살짝 내비치며 예술에 대해 평소 간직하던 소신을 적은 편지글로 마지막 인사를 대신합니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예진입니다. 공연을 기획하고 곡을 쓰지요. 때로는 이렇게 글도 쓰면서요. 어린 시절, 제 흐트러진 옷매무새를 바로잡으시던 어머니는 늘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먹을 때는 너를 위해 먹고, 입을 때는 남을 위해 입거라." 예수는 가라사대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마라" 하셨거늘, 저는 예수님 말씀보다 어머니 말씀을 더 따르며 살았나 봅니다. 세뇌의 힘은 외출 전의 나로 하여금 무엇을 입을까 항상 고민하게 했거든요. 거울 앞에서 늘 최선을 다해 단장을 했지요. 꾸밈은 비단 외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누군가와 나누는 말 한마디에도, 행동거지 하나하나에도 멋을 잔뜩 부렸지요. 지금도 잔뜩 멋 부린 자취방에서 또 잔뜩 멋 부리며 글을 쓰고 있네요.
일찌감치 멋 부리기를 좋아한 저는 예술을 하며 살고 싶었어요. 멋 부리며 살기에 이만한 것도 없었거든요. 오선지에 잔뜩 멋 부리며 펜대나 잡고 있던 제 모습을 꽤 멋스럽게 여겼어요. 그렇게 오랜 시간 예술을 공부했는데, 있잖아요, 알면 알수록 아는 게 많아야 정상이라는데 '예술공부'는 하면 할수록 모르는 게 더 많아지고 더 어려워지더라고요. 제가 어설프게 공부해서 그렇다고 하기엔 소위 대가로 불리는 분들도 여기에 확신하지 못한 듯 보였어요. 그전에는 뭔가 대단한 거라도 하는 사람처럼 우쭐대곤 했는데 채워지지 않은 채 적잖은 세월만 흘려보내니깐 조바심만 났어요. 그때 노벨 문학상을 받은 아나톨은 마치 여봐란듯이 이런 말을 남겼더라고요. "야! 이 바보야! 안다는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아. 상상하는 것이 중요하지."
결국 우쭐은 혼쭐이 났고 교만했던 접근방식을 반성했어요. 제가 했던 그 대단한 것이라는 그것도 따지고 보면 별것 아니구나, 생각이 들었어요. 왜냐하면 예술은 '앎'이 아니라 '삶'이니까요. 그리고 음악은 음학(音學)이 아니라 음악(音樂)인데, 저는 뭐 그리 알려고 했을까요.
그런 점에서 내일 아침이 되면 "오늘 무엇을 입을까" 상상하는 모두에게 그것도 예술이라 말하고 싶어요. 감히 말입니다. 제가 "예술하며 살고 싶다"라고 말했던가요. 지금은 그저 "살면서 예술"하고 싶어요.
이예진(공연기획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