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과목을 절대평가 하는 안을 밀어붙이기로 했다. 아직 등급 산정 방식도 정하지 못한 채 휴일인 크리스마스에 발표부터 했다. 수능 개편안은 적어도 3년 전에 발표한다는 '3년 전 예고제'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정책 개편 시한을 못박아두고 서둘러 관철하려는 모양새는 좋지 않다. 교육부가 영어 절대 평가가 가져올 문제점을 제대로 검토했는지조차 의심스럽다. 교육부는 절대평가제 도입 명분으로 과도한 학습과 사교육비 부담 경감, 학교 영어 교육 정상화를 내세웠다. 여기에는 영어를 절대평가제로 바꾸면 학습부담이 줄어들고, 영어 사교육 시장이 위축되며 학교 영어 교육이 정상화될 것이란 기대가 깔려 있다.
그러나 20년간 16차례에 걸쳐 바뀌었던 수능제도의 과거사를 돌아보면 교육부의 이 같은 기대는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크다. 과거 대통령이나 교육부 장관이 바뀔 때마다 정부는 늘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비 경감을 내세워 수능 개편안을 내놓았지만 이 안들이 오히려 수능과 대학입시를 왜곡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되어 왔다. 근래 들어서만 하더라도 2014학년도부터 쉬운 A형과 어려운 B형으로 구분된 수준별 선택형 수능을 도입했지만 결국 도입 1~3년 만에 모두 이전 체제로 돌아갔다. 이번에 영어과목에 도입한다는 수능 등급제도 이미 지난 2002년 도입했었지만 한동안 입시를 '로또'처럼 만들고선 원위치한 바 있다.
교육부는 교육의 가장 큰 목적이 인재육성에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대학이 그들이 원하는 인재를 뽑는 방법은 크게 수능과 학생부, 면접 세 가지다. 학생부나 면접은 고교마다 다르고 대학마다 달라 객관화하기 어렵다. 그나마 현행 입시제도 아래 수험생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것이 수능이다. 수능이 절대평가니, 쉬운 수능이니 해서 학생들의 실력을 가려주지 못하면 대학이 나서 실력을 가려야 한다. 그리되면 사교육 수요가 줄어들 리 없다. 교육부는 어떻게 대학들이 원하는 인재상을 뽑도록 도와줄 수 있을지 깊게 오래도록 고민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