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남이 내민 대화의 손, 북은 더 이상 거부 말아야

정부가 어제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위원장 박근혜 대통령) 명의로 내년 1월 남북당국 간 회담을 갖자고 북측에 공식 제의했다. 통준위 정부 측 부위원장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나서 "통일시대로 나아가기 위해 남북이 직접 만나 평화통일을 만들어가는 방안을 협의해야 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김양건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에게 보낸 전화통지문은 북한이 이날 수령했다.

정부가 올해 처음 발족한 통준위를 대화창구로 내세운 것은 특기할 만하다. 청와대-국방위원회를 창구로 했던 고위급 회담이 한 차례 성사된 이후 전혀 진전될 조짐이 없자 통준위를 내세운 것으로 보인다. 통준위는 위원장이 대통령이고 대통령 직속 기구다. 대통령이 직접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대화 재개를 위해 제의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풀이도 가능해진다. 그만큼 포괄적인 남북대화를 제의하고 있다. 무슨 일이든지 논의를 해보자는 것이다. 내년 설 전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남북 관심사와, 5'24 대북제재 해제, 금강산관광 재개 등 북측의 주요 관심사를 망라했다.

정부가 해를 넘기기 전에 대북 대화를 제의한 것은 새해엔 경색된 남북 관계를 잘 풀어보자는 의지를 담았다. 북한이 반응하기에 따라 대통령의 신년사엔 더 진전된 내용도 담을 수 있다는 메시지로도 읽히는 대목이다.

올해 남북 관계는 전혀 진전하지 못했다. 올 초 신년 기자회견서 박 대통령은 '통일은 대박' 이라 하고, 3월엔 드레스덴 선언을 하며 대북 제안을 쏟아냈지만 북측은 이를 무시해왔다. 하반기 들어 고위급 회담이 성사되며 해빙분위기가 조성되는가 싶더니 대북전단 살포 문제와 유엔 대북 인권 결의안을 두고 남북이 격돌했다.

북한은 통준위의 대화 제의에 대해 마음으로 화답해야 한다. 마침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역시 북한을 방문한 이희호 여사를 통해 현 정부에 남북관계 개선의지를 담은 친서를 전한 바 있다. 남북대화는 친서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특히 내년은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년이 되는 해다. 오랜 세월 서로 갈라진 가족들이 얼굴도 마주할 수 없는 곳은 지구 상에 한반도밖에 없다. 그래서 남북해빙은 더 절실히 요구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