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골프존 갑질'에 분노 영업주들 단체행동

무차별 기계 판매 매장 포화…업그레이드비 수천만원 폭리

대기업의 '슈퍼 갑질' 이야기는 대한항공에 국한된 문제는 아닌 모양이다. 스크린골프계의 절대 강자인 골프존의 행태를 놓고도 전국 스크린골프장 영업점주들이 단체 행동에 들어갔다. 이들이 정부 측에 전달한 탄원서를 요약해 소개한다. 골프존은 이에 대해 직접적인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골프존 사업자 비상대책위의 주장을 들어봤다.

▷골프존 사태 왜 여기까지 왔나?

전국골프존사업자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의 주도 하에 지난해 12월 18일 대전 골프존 조이마루 앞에서 열렸던 1차 집회에 이어 29일 정부종합청사와 이달 5일 골프존 서울 본사 앞의 집회, 오는 15일에는 다시 대전 골프존 조이마루 앞에서 3차 집회를 예고하고 있다.

표면적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골프존이 대전에 조이마루를 지으며 내부에 룸 30개를 가진 스크린골프 전용 경기장을 설립했기 때문이다. 조이마루가 문을 열고 본격 영업을 시작할 경우 대전지역 스크린골프장들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둘째는 골프존이 새로운 프로그램 비전플러스를 발표하면서 그 요금 2천원을 새로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컴퓨터와 프로젝터를 풀HD급으로 교체하는데 적지 않은 설치자금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데 실제 사업주들에게 돌아오는 이익은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골프존은 대전 조이마루 문제는 대전지역 사업주들이 해결방안을 들고 오면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고, 비전플러스 추가요금 부분은 시행을 미뤄놓은 상태다.

그럼에도 비대위는 15일 3차 집회 강행을 고집하는 데는 골프존에 갖고 있는 오랜 불만에 그 원인이 있다.

골프존이 기계를 많이 팔면 팔수록 골프존은 사업이 번창하지만 스크린골프장 사업주들은 매장이 많이 늘어 매장들끼리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익이 떨어지게 된다. 여기에 한 번 장치를 설치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업그레이드를 하는데, 그 가격이 터무니없이 높은 것도 불만의 한 요인이었다.

▷탄원서

전국 각 지역의 매장 수가 이미 포화상태를 넘어서서 이젠 한계상황을 벗어난 걸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모든 비극은 악덕기업 골프존이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이 아닌 기계만 파는 거라고 교묘하게 법망을 빠져나가 가맹사업의 의무인 상권보호를 안 하고 무차별 기계 판매로 같은 건물에도 몇 개씩 매장을 오픈시켜 우리 점주들이 서로 피 터지게 경쟁하게 만든 부도덕한 경영방식에 있으므로 악덕기업 골프존에 모든 책임을 물어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창업 당시 최초 구입비로 기계 1대당 4천만원에 구입하였고 1년 뒤 '리얼' 업그레이드비로 대당 약 200만원, 1년 뒤 또다시 1대당 '비전' 업그레이드로 적게는 2천만원 늦게 바꾸신 분들은 3천만원씩을 추가로 골프존에 지불해야 했으니 총 기계 값이 적게는 약 6천200만원 많게는 7천200만원이 들었습니다.

골프존은 우리 매장에서 비싼 월세 내가며 비싼 전기요금을 이용하여 광고 사업까지 하는데 우리는 그 광고 보고 싶지도 않고 시간만 지연되는 고통을 호소해도 못 들은 척 돈독이 오른 골프존은 슈퍼 갑질로 그 많은 광고수익을 다 가져가고 저희는 10원 한 장 못 받고 있는 억울한 실정입니다.

저희 점주들이 답답해하는 것은 재료를 본사에서 공급받아 영업하고 공급받은 재료비를 매월 본사로 입금시키는 것과 같은 시스템인데 골프존은 가맹사업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그 주장을 정부에서 인정해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번 기회에 정부 관계자분들께서 가맹사업법의 맹점을 냉철히 파악하고 연구하셔서 솔로몬의 지혜를 발휘해주시기를 간곡히 당부 드립니다.

(하략)

이동관 기자 dkd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