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서점 보호를 위해 도입된 '도서정가제'가 시행 40여 일이 지났지만, 중소서점에는 여전히 손님이 없다. 서점 주인들은 정책이 전혀 먹혀들지 않고 있다며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개정 도서정가제는 대형'인터넷서점의 지나친 할인을 막아 중소서점을 보호하고 책값 거품을 빼기 위해 지난해 11월 21일부터 시행됐다. 기존에는 18개월 이상 된 서적의 경우 할인율 제한이 없었으나, 새 제도 시행으로 신'구간 구분없이 할인율이 최대 15%로 제한되고 있다.
최근 동네서점들은 대형'인터넷서점의 공세에 고사 직전에 놓여 있다. 특히 대구는 전국에서 서점 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지역이다. 한국서점조합연합회의 '2014 한국서점편람'에 따르면 대구의 서점 수는 ▷2003년 386곳 ▷2011년 222곳 ▷2013년 175곳으로 줄어 10년 만에 절반 이상이 문을 닫았다. 이런 상황에서 동네서점 보호란 취지로 개정 도서정가제가 시행됐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정책이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달서구 본리동의 한 서점 주인은 "도서정가제 시행 전이나 지금이나 손님이 없기는 마찬가지"라고 했다. 남구 봉덕3동의 서점 주인은 "책값 거품을 제거하지 않고 할인율만 제한하니까 소비자들의 구매력만 떨어뜨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인터넷이나 대형서점들이 도서정가제 제한 규정을 피해가는 방안을 마련할 움직임이어서 걱정이다"고 지적했다.
새 제도 시행 후 손님이 더 줄었다는 서점들도 적지 않다. 북구 대현동의 서점 주인은 "도서정가제 시행으로 재고가 어느 정도 처리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오히려 손님이 30% 감소했다"며 "제도 시행을 앞두고 인터넷서점이나 대형서점들이 재고 처리를 위해 대규모 할인행사를 했다. 이들 서점이 제도 시행 전 2개월간 판매한 도서량은 1년치 판매량에 맞먹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상당 기간 소비가 침체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어린이전집을 주로 판매하는 달서구 죽전동의 서점 주인은 "성수기인 방학인데도 도서정가제 시행 전보다 더 줄어 손님이 예전의 절반 수준이다. 제도 시행 전에 미리 전집을 사둔 사람들이 많은데다, 많은 시민들이 제도 시행으로 책값이 올랐다고 생각해 구매를 꺼리고 있다"고 했다.
성미희 한국서점조합연합회 실장은 "중소서점 보호를 위해선 도서관이나 학교의 도서 납품에 지역 중소서점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창훈 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