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사회가 새해부터 확산되는 반(反) 이슬람 시위와 이에 대한 반대 목소리로 술렁이고 있다.
독일내 반 이슬람 감정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혐오감과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경기 침체, 유럽의 이슬람화에 반대하는 목소리들이 혼합되면서 점차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반 이슬람 단체의 대표주자는 매주 월요일 시위를 벌이는 '페기다'(PEGIDA). 유럽의 이슬람화에 반대하는 애국적 유럽인들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 단체가 5일 주도한 드레스덴 집회에는 무려 1만8천여 명의 시민들이 참가했다.
페기다의 시위가 확산되면서 6일(현지시간) '페기다에 노(no)를!'이라는 제목으로 헬무트 슈미트 전 독일 총리를 포함해 페기다에 반대하는 정치인과 예술가, 운동선수 등 80명의 호소문을 실었다.
슈미트 전 총리는 "페기다 시위는 어리석은 편견과 외국인 혐오증, 무관용에 호소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우리의 역사를 돌이켜봤을 때, 그리고 경제학적 관점으로도 독일은 난민들과 망명자들을 내쫓아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메르켈 총리를 포함한 독일 정치권도 "독일에 무슬림과 소수자에 대한 증오가 설 자리는 없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 시민들 중 상당수가 페기다 주장에 대해 공감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여론조사기관 포르사가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독일 시민 중 29%는"이슬람이 독일인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페기다의 반이슬람 시위가 정당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중 13%는 "반 이슬람 집회에 참석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독일내에서 반 이슬람 분위기가 높아지는 이유는 독일이 유럽 국가중 가장 많은 이민자를 받아들이는 국가라는 점도 작용하고 있다.
OECD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한 해 동안 독일 영주권을 얻은 영구 이민자는 40만 명으로 OECD 회원국 중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독일 무슬림 인구는 약 430만 명으로 전체 독일 인구의 약 5%에 달한다. 또 2014년 한 해 동안 독일에 도착한 난민 신청자는 20만 명에 달했다.
독일 정치권은 "경기 침체의 공포가 엄습하면서 일자리가 줄고 사회복지 비용이 증가하면서 반 이슬람 감정이 높아지고 있다"며 "한동안 독일 사회가 반 이슬람 시위와 반대 시위로 홍역을 치를 것으로 보인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재협 기자 ljh2000@msnet.co.kr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