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태명의 시와함께] 산과 길

산과 길

오규원(1941~2007)

여러 곳이 끊겼어도

길은 길이어서

나무는 비켜서고

바위는 물러앉고

굴러 내린 돌은 그러나

길이 버리지 못하고

들고 있다.

(시집 『두두』. 문학과 지성. 2008)

오규원 시인이 죽고 난 다음해 나온 유고 시집 『두두』는 엽서만 한 그림들을 모아 놓은 것 같다. 그러나 반복되는 단순한 양식의 이미지들, 이를테면 돌과 바람과 새와 꽃 등은 이전처럼 시인이 포획한 이미지가 아니라 죽음을 앞둔 시인이 앞으로의 거처로 보아둔 곳처럼 보인다. 죽기 열흘 전 겨울 병실에서 그는 이렇게 썼다.

나는 지금 시인이 굴린 돌 하나를 들고 있다. 길과 나무와 바위는 엄숙한 세상의 규칙 같다. 그런데 어디선가 '굴러 내린 돌'이라는 우발성이 내 손안에 있다. 대개 이 우발성은 우리에게 낯선 아픔이다. 나는 우두커니 서서 그 돌을 본다. 그런데, 만약 나 자체가 이 세상이라는 길 위로 '굴러 내린 돌'의 우발성이라면 어떨까? 세상이 나를 우두커니 내려다보지 않을까?

하지만 자꾸 비켜서고 물러서지 말았으면 좋겠다. 굴러 내리는 돌이 되었으면 좋겠다. 왜냐하면 세상의 모든 우발적인 돌들은 (「봄날과 돌」)이기 때문이다.

노태명 시인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