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의 정부 원안명은 '부정청탁 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이었다. 하지만 국회 정무위 법안소위는 이를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법'으로 법안명을 바꿨다.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는 범위가 방대해 추후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처리하지 못한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 영역은 공직자가 사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직무는 수행할 수 없도록 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공직자가 자신이나 가족, 친족 등 이해관계가 있는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게 하려는 입법 취지는 좋지만 과연 적용 가능한가에 대해선 지적이 끊이질 않는다. 가족까지 포함해 연좌제 논란이 일 수 있다.
특히 직무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보면 공직자의 가족은 직업을 가질 수 없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위헌 소지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여야는 2월 임시국회에서 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또 부정청탁을 처벌하기로 하면서 정당한 민원과 부정청탁의 유형을 구체화했다지만 여전히 국민의 청원권과 민원제기 권리가 침해될 소지가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부정청탁의 유형도 논의한 것 이상으로 많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무위는 12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김영란법을 의결한 뒤 당일 법제사법위원회와 국회 본회의 처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숙려기간을 거치지 않으려면 여야 지도부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로선 본회의 통과 전망은 불투명하다.
통과할 경우에 김영란법은 법안 통과일로부터 1년 후 시행된다. 처벌 조항도 유예 기간 없이 1년 뒤 곧바로 적용된다.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