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에 둥지 튼 사람들]②(주)엔유씨전자 김종부 대표

친해지는데 오래 걸려도 진국이잖아요…나도 대구 뚝배기!

전라도에서 온 김종부(62) 엔유씨전자 대표는 대구지역 수출 실적을 올리는 데 기여한
전라도에서 온 김종부(62) 엔유씨전자 대표는 대구지역 수출 실적을 올리는 데 기여한 '대구 수출 역군'이다. 그는 매년 수십 개국을 다니며 대구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다. 강산이 세 번쯤은 바뀐 30년을 대구에 머무른 전라도 남자가 있다. 원액기와 믹서기, 찜기 등을 생산하는 생활가전제품 전문기업 ㈜엔유씨(NUC)전자 김종부(62) 대표다. 그는 고향인 전라북도 익산시보다 대구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제 김 대표는 스스로를 전라도 사람이 아닌 '대구 사람'이라 부른다. 지난해에는 대구에서 수출 5천만달러 달성이라는 신화를 이루기도 했다. 대구의 어엿한 수출 역군이 된 그를 이달 7일 대구 북구 침산동에 위치한 엔유씨전자 본사에서 만났다. 툭툭 튀어나오는 대구 사투리, 무뚝뚝함 속에 묻어나오는 소탈함과 자상함이 영판 '대구 사람'이다.

◆뚝배기 같은 대구 사람 '딱 좋아!'

김 대표는 1986년에 처음 대구를 찾았다. 서울에서 '한일내셔널'이라는 상호로 믹서기와 녹즙기 등 생활가전제품을 판매하던 때였다. 당시 그는 서울에서만 3개 공장을 가동 중이었다. 그만큼 장사가 잘됐다. "내놓으면 팔리던 때였죠." 하지만 안주할 수만은 없었다. 경쟁력을 높일 '디딤돌'이 필요했다.

김 대표는 재도약의 기회를 '대구'에서 찾기로 결심했다. "대구는 1980년대 가전부품 사업이 호황을 누렸습니다. 대구에서 나오는 부품만으로도 완제품을 만들 수 있을 거란 생각으로 1개 공장을 대구로 이전했죠." 이전은 대성공이었다. 서울보다 대구 공장의 수익성이 훨씬 좋았다, 2년 후, 김 대표는 서울 공장을 모두 대구 북구 침산동으로 이전시켰다. 서울에서 거주하던 어머니와 아내, 두 자녀도 함께 왔다. 대구살이의 시작이었다.

사실 처음엔 대구가 낯설었다. 음식과 풍습이 그를 힘들게 했다. 김치는 소금을 통째로 부은 것처럼 짰다. 사람들과 친해지는 속도도 서울보다 더뎠다. 사라진 줄 알았던 '남녀칠세부동석'도 대구에는 남아있었다. 무엇보다 어색했던 건 학연, 지연 등으로 똘똘 뭉친 '끼리끼리 문화'. 그는 대구로 내려온 후 6개월 동안은 다시 서울로 가야 하나 고민했다. 하지만 이왕 내려온 거 확실한 대구 사람이 되자고 마음을 바꿨다.

그때부터 김 대표는 지역에서 동종 업종의 교류회 등에 적극 참여했다. 벤처기업 대구경북지역협회, 이노비즈 대구경북협회 등의 초대회장을 맡기도 했다. 모임에서는 사람들과 가까워지려고 먼저 다가서고, 가능하면 회식자리도 자주 가졌다.

"친해지면 속에 있는 것까지 다 꺼내는 게 대구 사람이에요. 대구 사람들은 뚝배기와 같아서, 데워지는 데는 오래 걸리지만 진국을 만들어내죠, 이러한 특성은 사업을 할 때도 큰 도움이 됐어요," 그는 이제 어디를 가도 '대구 사람'이란 소릴 듣는다.

◆대구 속의 글로벌 기업을 꿈꾸다

김 대표는 1년에 3분의 1은 대구에 없다. 가전제품 전시회 참여를 위해 수십 개국 출장길에 오르기 때문이다. 다음 달에도 독일에서 열리는 가전제품 전시회에 갈 예정이다. 현재 엔유씨전자가 수출하고 있는 국가만 미국과 중국, 일본, 독일 등 50여 개국이다.

지난해 엔유씨전자의 전체 매출은 720억원. 2013년 매출 규모 520억원에서 1년 사이 무려 200억원이 올랐다. 이 중 80%가 수출에서 나온 매출이다. 지난해 12월에는 한국무역협회에서 '5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쾌거를 누리기도 했다. 지난해 대구에서 '5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한 기업은 엔유씨전자를 포함해 2개뿐이다.

지금이야 엔유씨전자가 글로벌 기업으로 불리지만, 출발은 국내시장을 주요 대상으로 한 내수기업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유통망이 넓은 해외시장을 뚫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했어요. 기술력과 마케팅만 갖춘다면 해외에서도 승부수를 둘 만한다고 생각했죠."

막상 대구를 근거지로 해외시장을 개척하려니 어려움이 많았다. 해외 바이어들이 대구에 오려 하지 않았기 때문. 거리가 멀다는 것이 주 이유였다. 대구가 서울이나 부산보다 인지도가 떨어지는 것도 한 원인이었다. 해외 바이어를 대구로 부르려면 회사 자체 경쟁력을 높이는 수밖에 없었다.

꾸준한 연구개발 결과, 수출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한 지 5년 만에 수출로 인한 매출이 50배 이상 늘었다. "이제는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국에서 우리 제품을 보기 위해 대구를 찾습니다. 이만하면 대구 홍보대사죠? 하하하."

김 대표가 진단한 대구 수출시장 토양은 아직 척박하다. "얼마 전 중국 베이징에 출장 갔을 때 미팅을 마치고 만리장성을 둘러보고 왔어요. 대구도 외지 손님들이 왔을 때 둘러보고 갈 수 있는 볼거리가 많았으면 좋겠어요. 세계물포럼, 세계육상선수권대회처럼 국제적인 행사가 대구에서 열리는 것도 지역기업 인지도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대구시는 지역 기업인의 인큐베이터

김 대표의 든든한 사업 파트너는 '대구시 공무원'이다. 그는 사업을 하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발 벗고 나서준 대구시 공무원들을 잊지 못한다고 했다. 기자가 대구시가 도움을 준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니 한참 생각하다 입을 뗐다. "고마운 일들이 너무 많아서 무얼 말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그는 잠시 후 2년 전 일을 조심스럽게 꺼냈다.

"우리 회사 기술의 방향 설정을 두고 고민하던 때였어요. 그때 지나가는 말로 대구시의 한 과장에게 '힘들어 죽겠다'고 말했더니, 며칠 후 그 문제에 대해 미팅하자며 연락이 온 거예요. 10번은 만났을 겁니다. 그렇게 하고 나니, 방향을 다시 잡을 수 있었습니다."

그가 꼽은 대구시에 대한 고마움은 이뿐만이 아니다. '해피콜' 서비스는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라고 칭찬했다. 기업이 애로사항을 털어놓으면 상담내용을 정리해서 다시 전화로 말해주는 서비스로, 이 이름은 김 대표가 지었다고 한다.

해외 전시회 참가 시 단독부스를 지원해주는 것도 지역 기업엔 큰 도움이다. 전시회 단독부스 설치에 필요한 비용은 500만~800만원. 경제적 기반이 약한 신생 기업엔 부담스러운 금액이다. 그는 "국제통상과나 원스톱 기업지원관에 있는 대구시 공무원들은 기업가 못지않게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 열정을 가지고 있다"며 "지역 기업들이 대구시에 문을 두드린다면 어느 도시에서보다 큰 성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제 글로벌 기업으로서 첫발을 디뎠다고 했다. 그의 꿈은 오는 2024년까지 엔유씨전자를 수출 10억달러 규모의 중견기업으로 만드는 것이다. "대구는 저에게 '꿈의 도시'입니다. 대구에 온 뒤 매출 향상, 경쟁력 확보 등 좋은 성과들을 많이 거뒀어요. 앞으로도 대구와 함께 노력해서 더 큰 꿈을 이룰 겁니다."

신선화 기자 freshgirl@msnet.co.kr

사진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출생 1952년 전라북도 익산시

▷NUC 연혁

1978년 '한일내셔널'로 생활가전제품 전문기업 출범

1986년 대구로 1개 제품공장 이전

1988년 대구로 3개 공장 모두 이전

1990년 '엔유씨전자'로 전환

▷수상내역

2014년 한국무역협회 5천만불 수출탑 수상

2014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창조기업 우수사례 선정

2005년 발명의 날 발명진흥유공자 산업훈장 은탑 수상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