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데스크 칼럼] 부산국제공항을 만들자

남부권 신공항 건설을 두고 평행선을 달리던 영남권 5개 시도가 극적인 돌파구를 만들어냈다. 19일 대구에서 열린 영남권 5개 시도협의회에서 자치단체장들은 영남권이 아귀다툼할 경우 신공항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극적인 합의안을 도출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가덕도가 아니면 안 된다'는 완강한 입장에서 벗어나 '신공항 타당성 검토 용역에 관한 사항은 정부가 외국의 전문기관에 의뢰해서 결정토록 일임한다'라는 데 도장을 찍었다. 부산은 그동안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입지'와 '기존 공항(김해공항 등) 존치'를 필수 입지 조건으로 내세웠고 대구경북, 경남, 울산은 '1시간 내 접근 가능한 공항'과 '기존 공항 폐지'를 조건으로 입지타당성조사를 하라고 요구하며 팽팽히 맞서왔다. 부산시와 시민단체들이 민자 개발을 통한 독자 건설 방안을 밝히기도 했다. 이러던 차에 영남권 5개 지자체가 극적인 합의를 도출, 한숨을 돌리며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

2030년 경남 밀양들, 아니 부산국제공항. 대형 항공기가 수시로 창공을 가르고, 비행기 굉음이 하늘을 찌른다. 공항 이름은 밀양의 배후 국제도시인 부산시에서 따왔다. 개항 5년도 안 돼 부산국제공항은 세계인들에게 친숙한 공항이 됐고 연간 2천500만 명이 이용하는 관문공항으로 자리매김했다. 부산시민들은 어느 곳에서나 30분 이내에 부산국제공항에 다다르고, 대구시민들도 집에서 1시간 만에 공항에 도착해 곧바로 미국으로, 유럽으로 내달린다.

외부인들에게 제공되는 공항회의장 곳곳에서는 부산, 대구의 기업과 해외 바이어들이 수출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한 상담장에서 대구의 기업인은 1시간 거리에 공장과 제품이 있으니 수출품을 검증하러 가자며 목소리를 높인다. 밀양 동남쪽 김해 인근에는 공항 배후도시인 부산에어시티(Busan Air City)가 생겼다. 수만 평에 이르는 물류기지와 호텔, 골프장 등 위락시설이 갖춰진 이곳에는 수만 명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졌다.

개항 5년째 부산상공회의소는 부산국제공항 때문에 부산이 얻는 경제효과는 연 10조원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를 내놓는다. 부산 가덕도에 국제 관문공항이 생겼다면 부산'경남의 국제공항으로 전락했을 텐데 밀양에 공항을 조성한 결과 대구경북권, 울산권은 물론이고 호남'충청권 일부 여객수요와 산업물동량까지 흡수해 경제파급 효과가 2배로 커졌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부산상의는 밀양에 공항을 조성함으로써 부산이 가장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 같은 미래상은 결코 헛된 꿈이 아니다. 밀양에 부산국제공항이 들어설 경우 100% 사실로 실현될 프로그램이다.

반면 가덕도에 공항이 들어설 경우 영남권 경제공동체는 설 자리가 없다. 영남권이 수도권 경제공동체, 수도권 집중에 따른 경쟁력 상실에서 나아가 남북통일이 실현될 2030년쯤엔 북방 경제권과도 경쟁할 수 없게 된다.

영남권이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특히 대구경북이 그렇다. 대구경북은 밀양에 남부권 신공항을 가져오지 못하면 영원히 단절된 내륙도시로, 고립된 섬으로 존재하게 된다. 부산은 2000년대 초반부터 자체 신공항 건설을 계획하고 가덕도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해놓았다. 대구경북은 남부권 신공항의 건설 필요성이 제기되자 밀양에 대한 일회성 연구만 해놓은 상태다. 외국기관이 신공항 입지를 결정하겠지만 결국 현재 비축되고 연구된 자료가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대구경북은 '밀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 때문에 경남, 울산과의 협업은 물론 학계, 싱크탱크를 총동원해 밀양 부산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논리개발과 제반 논란거리에 대한 적확한 자료를 만들고 연구해야 한다.

10년 뒤에는 부산의 친구와 함께 부산국제공항에서 미국으로, 유럽으로 훌훌 날아가고 싶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