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국가(IS)에 납치당해 살해 위협을 받고 있는 일본인 2명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처 방안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일본 정부가 이슬람국가(IS)의 일본인 인질 2명에 대한 몸값(2억달러'약 2천180억원) 요구를 수용할 것인가를 놓고서다.
아베 총리는 사건이 표면화된 20일부터 공식적으론 "테러에 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동시에 "인명이 제일 우선이며 인질 석방에 전력을 기울일 것"이란 말도 덧붙이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21일 기자회견에서 "(몸값 요구에 대한 대응은) 사안의 성질상 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IS를 자극하지 않으려는 의도일 수도 있지만, 20일의 "단호히 대응할 것"이란 입장에선 크게 물러선 느낌이다.
아베 정권으로서는 자국민의 희생을 묵인하며 미국이나 영국처럼 테러에 대해 강경 태도를 취할 수도 없고 IS 요구를 수용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일본인 인질 살해 위협 동영상이 아베 총리가 중동 순방 중 IS 격퇴를 위해 2억달러를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이후 공개된 만큼 아베 총리가 갖는 부담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일단 일본은 터키'요르단 정부에 협조를 구하며 IS 측과 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일본은 인질 사태와 관련, 몸값을 지불한 전례가 있다.
2004년 일본 구호직원 3명이 이라크 반군에 포로로 잡혔을 당시 이들은 살해 협박 1주일 후 모두 풀려났다. 일본 정부는 몸값 지불을 공식적으로 부인했지만,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됐다. 1977년에도 항공기 납치 적군파에 인질 석방 대가로 600만달러를 지급했다.
IS 홍보책임자가 21일 NHK의 취재에 "당신들 정부(일본 정부)는 몸값을 지불할 것"이라고 장담한 것도 이런 배경이 깔려 있다.
IS는 몸값을 지불한 국가의 인질은 예외 없이 석방해왔고, 이를 거부한 미국과 영국 인질들은 살해한 전력이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지난 2년간 IS에 붙잡힌 인질 중 몸값 지불을 거부한 미국과 영국인 5명이 처형됐지만, 이탈리아나 프랑스 출신 등 16명의 인질은 몸값을 내고 풀려났다고 보도했다.
외교 관계자들은 "일본 정부로서는 IS의 요구를 수용하거나 거부하거나 어떤 상황이 발생해도 국제사회나 자국민의 비난에서 피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현재로선 일본 정부가 자국민 구출에 우선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고 밝혔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