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문화를 읽다/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동녘 펴냄
문화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불가피한 코드가 되었다. 고대나 중세 사회에서는 문화의 자리에 '종교'가 들어가 있었고 근대에는 '예술'이 부흥하면서 그 자리를 차지했다. 본격적으로 문화, 특히 대중문화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 시점은 20세기를 넘어서다.
지금 우리는 넘쳐나는 문화의 과잉 영양으로 어찌할 바를 모른다. 삶에서 의미를 찾던 시대는 가고 그 자리에 문화가 독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문화라는 커다란 날개 아래 숨겨진 핵심 코드를 찾아서 현대를 읽는다면 제대로 현대인의 삶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고민에서 이 책은 시작됐다.
2009년에 초판이 나온 것을 개정 증보한 이 책은 그동안 변화하는 한국 사회 문화의 상황을 감안해 좀 더 비중 있는 몇 가지 주제들을 새롭게 첨가했다.'성차별과 페미니즘''다문화' '소비와 욕망''감시와 자유' 등 14개 대한민국의 핵심 코드를 통해 우리 사회 전반에 깔린 문화현상을 직시하고, 주체적으로 문화를 수용하고 즐기는 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실천적인 성찰력은 현실에서 다양한 문화 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거대 문화 자본과 권력에 맞서 이웃과 연대해 소비자 불매 운동을 펼칠 수도, 공정 무역의 실천 장으로 나갈 수도 있다. 억압적인 가부장제 문화와 불평등한 성 차별에 맞서 새로운 평등의 대안 문화를 꿈꿀 수도 있다. 일상의 문화를 철학의 언어로 다시 읽어보자. 346쪽, 1만6천원.
한윤조 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