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대통령에 대한 새해 업무보고를 통해 대학입시에서 인성평가를 강화하겠다던 교육부가 어정쩡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로드맵도 없이 보고부터 했다가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혼란스러워하자 기존에 없는 인성 평가가 새롭게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며 발을 빼려는 모양새다.
박근혜정부는 대입 정책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출범했다. 대입 전형 3년 예고제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것도 그 연장선상이었다. 하지만 집권 3년 차를 맞으면서 이 모든 것이 헛구호가 되었다. 올해 수능시험을 쳐야 하는 고3 수험생들은 정작 11월 수능이 어떤 방식이 될지 깜깜하다. 정부가 바뀐 후 갑작스레 '쉬운 수능'을 들고 나와 입시혼란이 가중됐고 잇단 출제 오류로 올해 치를 수능 개선안이 3월에야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이뿐 아니다. 지난 정부서 비롯한 선택형 수능 폐지를 시작으로 대학별 전형 수시 4개, 정시 2개로 제한, 수능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 영어 절대 평가 전환 등 입시정책들이 속전속결로 발표되고 있다.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들의 동의를 구해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쉬운 수능'이나 ' 영어 절대 평가 전환'에다 이번 '인성평가 강화' 논란에 이르기까지 현 정부가 추진하는 입시 정책에선 '일단 바꾸고 보자'는 조바심이 묻어난다. 이런 조바심은 물론 이번 정부만의 일은 아니다. 역대 어느 정부건 입시정책이 오락가락했다. 이번 정부 들어서는 좀 달라지리라 기대했는데 그렇지 못할 따름이다.
학부모 입장에선 입시제도 변화만큼 민감한 것이 없다. 입시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여 나가야 할 교육부가 혼선을 부추기는 것은 삼가야 한다. 아무리 좋은 취지라도 제도가 매년 바뀐다면 어느 학부모가 이를 선뜻 받아들일 수 있는가. 교육정책이 학부모나 학생 등 교육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추려는 것이 아니라 정권의 입맛에 맞추려는 시도로밖에 볼 수 없다. 더 이상 대입전형을 누더기로 만들어선 안 된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그 부분만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손보면 그만이다. 이를 빌미로 새 판을 짜려들면 결국 혼란만 더해진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